卷三 致知 19. 마음이 거칠고 산만하면 성인에 이를 수 없다. 卷三 致知 19. 마음이 거칠고 산만하면 성인에 이를 수 없다. 學不能推究事理(학불능추구사리) 배워도 사리를 추구할 수 없는 것은, 只是心麤(지시심추) 단지 마음이 거칠고 산만하기 때문이다. 至如顔子(지여안자) 未至於聖人處(미지어성인처) 안자(顔子)와 같은 이가, 성인에 이르지 .. 近思錄 2016.08.02
卷三 致知 18. 학문이란 들뜬 상태에서는 이룰 수 없다 卷三 致知 18. 학문이란 들뜬 상태에서는 이룰 수 없다 義理之學(의리지학) 의리(義理)의 학문은, 亦須深沈方有造(역수심침방유조) 또한 깊이 잠겨서 방정(方正)하게 해야 도달할 수 있다. 非淺易輕浮之可得也(비천역경부지가득야) 얕고 쉽고 가볍고 들뜬 상태에서는 이루어 질 수가 없는 .. 近思錄 2016.07.29
卷三 致知 17. 구차하게 아는 것을 터득이라 하지 않는다. 卷三 致知 17. 구차하게 아는 것을 터득이라 하지 않는다. 子貢謂(자공위) 자공(子貢)이 말하기를, 夫子之言性與天道(부자지언성여천도) "부자(夫子)의 어진 성품에서 나오는 말과 천도(天道)는, 不可得而聞(불가득이문) 들어도 알 수가 없다"고 하였으니, 旣言夫子之言(기언부자지언) 則是.. 近思錄 2016.07.29
卷三 致知 16. 물괴(物怪)와 신간(神姦)은 말하기 어렵지 않다 卷三 致知 16. 물괴(物怪)와 신간(神姦)은 말하기 어렵지 않다 橫渠先生答范巽之曰(횡거선생답범손지왈) 횡거 선생이 범손지에게 답하여 말하기를, 所訪物怪神姦(소방물괴신간) "그대가 질문한 물괴(物怪)와 신간(神姦)에 대하여는, 此非難語(차비난어) 말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나, 顧語未.. 近思錄 2016.07.29
卷三 致知 15. 의문을 풀어 그 뜻을 이해하라 卷三 致知 15. 의문을 풀어 그 뜻을 이해하라 學者先要會疑(학자선요회의) 배우는 사람은 먼저 의문을 풀어서 그 뜻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씨외서(程氏外書)> 제11편(第十一篇) 배운다는 것은 곧 의심나는 것을 순서 있게 풀어 나가는 것이라는 이천 선생의 말이다. 주자는 말하.. 近思錄 2016.07.29
卷三 致知 14. 무엇을 근사(近思)라고 합니까? 卷三 致知 14. 무엇을 근사(近思)라고 합니까? 問(문) 묻기를, 如何是近思(여하시근사) "무엇을 근사(近思)라고 합니까?"하니, 曰(왈) 말하기를, 以類而推(이류이추) 자기가 아는 것 중에 가까운 것을 미루어 생각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정씨유서(程氏遺書)> 제22편(第二十二篇) 이류이.. 近思錄 2016.07.29
卷三 致知 13. 생각하는 것을 예(睿)라고 한다. 卷三 致知 13. 생각하는 것을 예(睿)라고 한다. 思曰睿(사왈예) 睿作聖(예작성) 생각하는 것을 예(睿)라고 한다. 예(睿)는 성(聖)을 만든다. 致思如堀井(치사여굴정) 생각을 이루는 것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아서, 初有渾水(초유혼수) 처음에는 흐리고 탁한 물이 있지만, 久後稍引動得淸者出.. 近思錄 2016.07.28
卷三 致知 12. 저것이 밝아지면 이것도 깨닫게 된다. 卷三 致知 12. 저것이 밝아지면 이것도 깨닫게 된다. 問(문) 묻기를, 觀物察己(관물찰기) 還因見物(환인견물) "사물을 보고 자기를 살핀다는 것은, 사물을 보는 것에 따라서, 反求諸身否(반구제신부) 자기 몸에 반성을 구하는 것이 아닙니까?"하니, 曰(왈) 말하기를, 不必如此說(불필여차설) .. 近思錄 2016.07.28
卷三 致知 11. 오직 지(知)를 이루어야 한다. 卷三 致知 11. 오직 지(知)를 이루어야 한다. 問(문) 묻기를, 人有志於學(인유지어학) "사람이 학문에 뜻이 있는데도, 然知識蔽固力量不至(연지식폐고력량부지) 지식이 굳게 가려져서 역량을 발휘할 수 없으면, 則如之何(즉여지하) 어찌해야 합니까?"하니, 曰(왈) 대답 하기를, 只是致知(왈지.. 近思錄 2016.07.28
卷三 致知 10. 한 가지에만 집착하지 말라 卷三 致知 10. 한 가지에만 집착하지 말라 思曰睿(사왈예) 생각하는 것은 예(睿)이다. 思慮久後(사려구후) 睿自然生(예자연생) 사려(思慮)를 오래한 뒤에, 저절로 예(睿)가 생기게 되는 것이니, 若於一事上(약어일사상) 思未得(사미득) 만약 한 가지의 일을, 생각하여 이치를 얻지 못하면, 且.. 近思錄 2016.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