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篇 謀攻[03] 모략이 최고의 전법이다. 第三篇 謀攻[03] 모략이 최고의 전법이다. 故善用兵者, (고선용병자) 그러므로 최상의 지휘자는 屈人之兵而非戰也. (굴인지병이비전야) 적의 군대를 굴복시키지만 전쟁을 강행하지 않는다. 拔人之城而非攻也, (발인지성이비공야) 적의 성을 함락시키지만 구태여 공격을 일삼지 않는다... 孫子兵法[完] 2012.09.23
第三篇 謀攻[02] 적의 음모를 분쇄하라 第三篇 謀攻[02] 적의 음모를 분쇄하라 故上兵伐謀, (고상병벌모) 최상의 전법은 적의 모략을 분쇄하는 일이고, 其次伐交, (기차벌교) 그 다음이 외교관계를 파괴하는 일이며, 其次伐兵, (기차벌병) 그 다음은 군사를 정벌하는 일이요, 其下攻城.(기하공성) 최하는 적의 요새를 공격하는 .. 孫子兵法[完] 2012.09.23
第三篇 謀攻[01] 싸우지 않고 승리하라. 第三篇 謀攻[01] 싸우지 않고 승리하라.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凡用兵之法,(범용병지법) 全國爲上, (전국위상) 대체로 전략은 적국을 온전한 채로 포섭하는 것이 최상이며 破國次之; (파국차지) 적의 국토를 파괴하고 얻은 것은 차선이다. 全軍爲上, (전군위상) 적의 군단을 .. 孫子兵法[完] 2012.09.23
第二篇 作戰[05] 승리하는 데 가치가 있다. 第二篇 作戰[05] 승리하는 데 가치가 있다. 故兵貴勝,(고병귀승) 不貴久. (불귀구) 전쟁은 승리하는 데 가치가 있는 것이지 결코 오래 하는 데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故知兵之將,(고지병장) 民之司命, (민지사명) 그러므로 전쟁의 본질을 인식하고 있는 장군만이 백성의 생명을 관장.. 孫子兵法[完] 2012.09.23
第二篇 作戰[04] 노획물을 상으로 고무시킨다. 第二篇 作戰[04] 노획물을 상으로 고무시킨다. 故殺敵者, (고살적자) 怒也, (노야) 적을 죽이려면 적개심을 격발시켜야 한다. 取敵之利者, (취적지리자) 貨也. (화야) 적의 이익을 탈취하려면 장병을 상으로써 격려해야 한다. 故車戰,(고차전) 得車十乘已上,(득차십승이상) 賞其先得者, (.. 孫子兵法[完] 2012.09.23
論語 1.學而編 10.공자의 정치적 태도 論語 1.學而編 10.공자의 정치적 태도 子禽(자금)이 問於子貢曰:(문어자공왈) 자금이 자공에게 물었다. 「夫子至於是邦也,(부자지어시방야)하사 必聞其政, (필문기정)하시나니 「선생님께서는 가시는 나라마다 반드시 그 나라의 정사를 들으시는데, 求之與? (구지여)야 이는 선생님께서 요.. 논어(論語)[完] 2012.09.20
論語 1.學而編 9.지극한 효도는 백성을 감화시킨다. 論語 1.學而編 9.지극한 효도는 백성을 감화시킨다. 曾子曰: (증자왈) 증자가 말했다. 「愼終追遠, (신종추원)이면 「 상례(喪禮)를 신중히 하고 제사를 정성껏 모시면, 民德(민덕)이 歸厚矣.」(귀후의)니라 백성들의 덕행이 두터워질 것이다.」 논어(論語)[完] 2012.09.20
論語 1.學而編 8.군자들의 마음가짐 論語 1.學而編 8.군자들의 마음가짐 子曰: (자왈) 공자가 말하였다 「君子不重則不威,(군자부중즉불위) 學則不固. (학즉불고)니라 「군자는 무게가 없으면, 위엄이 서지 않고 배워도 견고하지 못하느니라. 主忠信.(주충신)하며 無友不如己者.(무우불여기자)오 충성과 신의에 힘쓰고, 자기.. 논어(論語)[完] 2012.09.20
論語 1.學而編 7.학문보다 실천을 論語 1.學而編 7.학문보다 실천을 子夏曰: (자하왈) 자하가 말했다. 「賢賢(현현)하되 易色,(역색)하며 「현인을 현인으로 받듦에 낯빛을 바꾸어 공손히 하고, 事父母(사부모)하되 能竭其力,(능갈기력)하며 어버이를 섬김에 온힘을 다하고, 事君(사군)하되 能致其身,(능치기신)하며 임금을 .. 논어(論語)[完] 2012.09.20
論語 1.學而編 6.젊은 사람의 몸가짐 論語 1.學而編 6.젊은 사람의 몸가짐 子曰: (자왈) 공자가 말하기를 「弟子入則孝,(제자 입즉효)하고 出則弟,(출즉제)하며 「제자는 (집에) 들어가면 효를 행하고, 나오면 우애를 행하고, 謹而信,(근이심)하며 汎愛衆,(범애중)하되 而親仁.(이친인)이니 삼가고 신의로우며, 널리 사람을 사랑.. 논어(論語)[完] 2012.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