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五篇 兵勢[01] 직제과 공방 第五篇 兵勢[01] 직제과 공방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凡治衆如治寡, (범치중여치과) 무릇 다수의 병력을 통솔하면서도 소수의 병력을 통솔하듯 하는 것은 分數是也. (분수시야) 조직과 편제가 있기 때문이다. 鬪衆如鬪寡, (투중여투과) 많은 군대를 전투에 참가시키면서도 소.. 孫子兵法[完] 2012.09.26
第四篇 軍形[04] 정치가 승패를 결정한다. 第四篇 軍形[04] 정치가 승패를 결정한다. 善用兵者,(선용병자) 修道而保法, (수도이보법) 용병을 잘하는 자는 지도력을 잘 수양하고 법과 제도를 잘 보전한다. 故能爲勝敗之政.(고능위승패지정) 따라서 승패를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이 있게 되는 것이다 兵法:(병법) 一曰度,(일왈도) 二曰.. 孫子兵法[完] 2012.09.26
第四篇 軍形[03] 승산이 확실한 뒤에 전쟁을 한다 第四篇 軍形[03] 승산이 확실한 뒤에 전쟁을 한다 見勝不過衆人之所知,(견승불과중인지소지) 非善之善者也,(비선지선자야) 승리를 예견하는 능력이 일반사람들도 다 알 수 있는 정도로서는 뛰어난 자라 할 수 없다. [누가 보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승리는 최선의 승리가 아니다.] 戰.. 孫子兵法[完] 2012.09.25
第四篇 軍形[02] 공격과 방어 第四篇 軍形[02] 공격과 방어 不可勝者,(불가승자) 守也, (수야) 이길 수 없는 자는 지키고, 可勝者,(가승자) 攻也. (공야) 이길 수 있는 자는 공격한다. 守則不足, (스즉불족) 방어하는 것은 군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요. 攻則有餘. (공즉유여) 공격하는 것은 군사력이 여유가 있기 때문이.. 孫子兵法[完] 2012.09.25
第四篇 軍形[01] 승패는 적에게 달려 있다 第四篇 軍形[01] 승패는 적에게 달려 있다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昔之善戰者, (석지선전자) 예로부터 전쟁에 능한 자는 先爲不可勝, (선위불가승) 먼저 적이 승리하지 못하도록 만전의 태세를 갖추고 以侍敵之可勝. (이대적지가승) 아군이 승리할 수 있을 때를 기다렸다. 不.. 孫子兵法[完] 2012.09.25
第三篇 謀攻[07]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第三篇 謀攻[07]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故曰 :(고왈) 知彼知己,(지피지기) 百戰不殆. (백전백태) 요컨대 적정(敵情)을 알고 아군의 실정(實情)을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不知彼而知己,(부지피이지기) 一勝一負, (일승일부) 저편의 사정을 알지 못하고, 이편의 사정만을 .. 孫子兵法[完] 2012.09.24
第三篇 謀攻[06] 승리를 판단하는 다섯 가지 第三篇 謀攻[06] 승리를 판단하는 다섯 가지 故知勝有五: (고지승유오) 그러므로 승리를 예지할 수 있는 5가지 요점이 있으니, 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지가이전여불가이전자승) 첫째, 싸워서 유리한 지, 불리한 지를 분별하여 싸우는 자는 승리한다. 識衆寡之用者勝, (식중과지용자승.. 孫子兵法[完] 2012.09.24
第三篇 謀攻[05] 간섭하지 마라 第三篇 謀攻[05] 간섭하지 마라 夫將者,(부장자) 國之輔也. (국지보야) 장수는 통치자를 보좌한다. 輔周則國必强, (보주즉국필강) 보좌가 완전하면 국가가 강대해질 것이고, 輔隙則國必弱.(보극즉국필약) 보좌가 불완전하면 국가가 약화된다. [보(補)란 차바퀴의 양쪽 차축을 버티는 덧.. 孫子兵法[完] 2012.09.24
第三篇 謀攻[04] 열세일 때는 후퇴하라 第三篇 謀攻[04] 열세일 때는 후퇴하라 故用兵之法, (고용병지법) 그러므로 병력을 사용하는 방법은 十則圍之, (십즉위지) 이편이 적군의 10배가 되면 그들을 포위하고, 五則攻之, (오즉공지) 이 편이 5배가 되면 공격해도 좋다. 倍則分之, (배즉분지) 이편이 2배가 되면 적군을 분산시켜 .. 孫子兵法[完] 2012.09.24
第三篇 謀攻[03] 모략이 최고의 전법이다. 第三篇 謀攻[03] 모략이 최고의 전법이다. 故善用兵者, (고선용병자) 그러므로 최상의 지휘자는 屈人之兵而非戰也. (굴인지병이비전야) 적의 군대를 굴복시키지만 전쟁을 강행하지 않는다. 拔人之城而非攻也, (발인지성이비공야) 적의 성을 함락시키지만 구태여 공격을 일삼지 않는다... 孫子兵法[完] 2012.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