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篇 謀攻[02] 적의 음모를 분쇄하라 第三篇 謀攻[02] 적의 음모를 분쇄하라 故上兵伐謀, (고상병벌모) 최상의 전법은 적의 모략을 분쇄하는 일이고, 其次伐交, (기차벌교) 그 다음이 외교관계를 파괴하는 일이며, 其次伐兵, (기차벌병) 그 다음은 군사를 정벌하는 일이요, 其下攻城.(기하공성) 최하는 적의 요새를 공격하는 .. 孫子兵法[完] 2012.09.23
第三篇 謀攻[01] 싸우지 않고 승리하라. 第三篇 謀攻[01] 싸우지 않고 승리하라.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凡用兵之法,(범용병지법) 全國爲上, (전국위상) 대체로 전략은 적국을 온전한 채로 포섭하는 것이 최상이며 破國次之; (파국차지) 적의 국토를 파괴하고 얻은 것은 차선이다. 全軍爲上, (전군위상) 적의 군단을 .. 孫子兵法[完] 2012.09.23
第二篇 作戰[05] 승리하는 데 가치가 있다. 第二篇 作戰[05] 승리하는 데 가치가 있다. 故兵貴勝,(고병귀승) 不貴久. (불귀구) 전쟁은 승리하는 데 가치가 있는 것이지 결코 오래 하는 데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故知兵之將,(고지병장) 民之司命, (민지사명) 그러므로 전쟁의 본질을 인식하고 있는 장군만이 백성의 생명을 관장.. 孫子兵法[完] 2012.09.23
第二篇 作戰[04] 노획물을 상으로 고무시킨다. 第二篇 作戰[04] 노획물을 상으로 고무시킨다. 故殺敵者, (고살적자) 怒也, (노야) 적을 죽이려면 적개심을 격발시켜야 한다. 取敵之利者, (취적지리자) 貨也. (화야) 적의 이익을 탈취하려면 장병을 상으로써 격려해야 한다. 故車戰,(고차전) 得車十乘已上,(득차십승이상) 賞其先得者, (.. 孫子兵法[完] 2012.09.23
第二篇 作戰[03] 적의 것을 사용한다. 第二篇 作戰[03] 적의 것을 사용한다. 善用兵者, (선용병자) 군사를 잘 쓰는 자는 役不再籍, (역부재적) 단기간에 전쟁을 수행하므로 장정을 두 번 다시 징집하지 않고, 糧不三載, (양불삼재) 군량을 세 번 싣지 않는다. 取用於國, (취용어국) 비용은 나라에서 취하고 因糧於敵, (인량어적).. 孫子兵法[完] 2012.09.20
第二篇 作戰[02] 속전속결이 중요하다 第二篇 作戰[02] 속전속결이 중요하다 其用戰也貴勝, (기용전야귀승) 군대를 이용하여 전쟁을 할 때에 신속한 승리처럼 귀중한 것이 없다 久則鈍兵挫銳, (즉둔병좌예) 전쟁이 오래 지속되면 병사가 둔해지고 예기가 꺾인다. 攻城則力屈, (공성즉역굴) 따라서 적진을 공략해도 공격력이 .. 孫子兵法[完] 2012.09.20
第二篇 作戰[01] 전쟁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第二篇 作戰[01] 전쟁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孫子曰 :(손자왈) 凡用兵之法,(범용병지법) 손자가 말했다. 군대의 운용법은 馳車千駟,(치거천사) 革車千乘, (혁거천승) 치거(말이 끄는 전차) 천대, 혁거[치중차(輜重車)] 천대, 帶甲十萬,(대갑십만) 千里饋糧, (천리궤량) 갑옷병사 십만, 천리.. 孫子兵法[完] 2012.09.20
第一篇 始計[05] 승산이 있어야 한다. 第一篇 始計[05] 승산이 있어야 한다. 夫未戰而廟算勝者, (부미전이묘산승자) 得算多也.(득산다야) 무릇 싸우지 않고도 묘산(廟算)하여 승리하는 자는 산(算)을 얻음이 많다. 未戰而廟算不勝者, (미전이묘산불승자) 得算少也.(득산소야) 아직 싸우지 않고도 묘산(廟算)하여 승리하지 못.. 孫子兵法[完] 2012.09.20
第一篇 始計[04] 병법은 기만전술이다. 第一篇 始計[04] 병법은 기만전술이다. 兵者,(병자) 詭道也. (궤도야) 병(兵)은 속임수이다. 故能而示之不能,(고능이시지불능) 능력이 있으면서도 능력이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用而示之不用, (용이시지불용) 혹은 필요하면서도 필요하지 않은 것처럼 위장을 한다. 近而視之遠,(근이.. 孫子兵法[完] 2012.09.20
第一篇 始計[03] 비교의 일곱 가지 기준 第一篇 始計[03] 비교의 일곱 가지 기준 曰: 主孰有道? (왈 주숙유도) 1. 어느 편의 통치자가 더 정치를 잘 하는가. 將孰有能? (장숙유능) 2. 장수는 어느 편이 더 유능한가. 天地孰得? (천지숙득) 3. 천후와 지리는 어느 편이 유리한가. 法令孰行? (법령숙행) 4. 조직, 규율, 장비는 어느 편이 .. 孫子兵法[完] 201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