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2章 論將[1] - 第3篇 龍韜 第2章 論將[1]- 장수의 다섯 가지 재지와 덕능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論將之道奈何」(론장지도내하) “장수에 대하여 논하면 그 도는 어떻습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將有五材十過.」(장유오재십과) “장수에게는 .. 육도삼략[完] 2012.04.17
오자병법 제5편 논장(장수를 논하다) 5 吳子兵法 論將 第五 오자병법 제5편 논장(장수를 논하다) 5 武侯問曰:“兩軍相望,不知其將,我欲相之,其術如何?” 무후문왈:“량군상망,부지기장,아욕상지,기술여하?” 起對曰:“令賤而勇者,將輕銳以嘗之,務於北,無務於得。 기대왈:“령천이용자,장경예이상지,.. 오자병법[完] 2012.04.14
오자병법 제4편 치병(군대 육성) 7 吳子兵法 治兵 第四 오자병법 제4편 치병(군대 육성) 7 武侯問曰:“三軍進止,豈有道乎?” 무후문왈:“삼군진지,개유도호?” 起對曰:“無當天竈,無當龍頭。天竈者,大谷之口;龍頭者,大山之端。 기대왈:“무당천조,무당룡두。천조자,대곡지구;룡두자,대산지.. 오자병법[完] 2012.04.13
오자병법 제1편 서장(문후와의 만남) 吳子兵法 序章 第一 오자병법 제1편 서장(문후와의 만남) 吳起儒服(오기유복),以兵機見魏文侯(이병기견위문후)。 오기가 儒生(유생) 차림으로 병법을 진언코자 魏文侯(위문후)를 배알하였다. 文侯曰(문후왈):“寡人不好軍旅之事(과인불호군려지사)。” 그런데 문후가 "과인은 전쟁을 .. 오자병법[完] 2012.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