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 않아도 하지 못함이 없다 (노자 하편 제48장) 하지 않아도 하지 못함이 없다 (노자 하편 제48장) 爲學日益, (위학일익,) 학문을 하면 지식이 나날이 늘어가고 爲道日損. (위도일손.) 도를 행하면 날마다 욕심이 줄어든다. 損之又損, (손지우손,) 줄이고 또 줄이면 무위에 이른다. 以至於無爲. 無爲而無不爲. (이지어무위. 무위이무불위.) .. 道德經[完] 2012.05.23
밖으로 지식을 구할수록 참 지식은 적어진다. (노자 하편 제47장) 밖으로 지식을 구할수록 참 지식은 적어진다. (노자 하편 제47장) 不出戶, 知天下, (불출호, 지천하,) 집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세상을 알며, 不窺爽, 見天道. (불규유, 견천도.) 창으로 내다보지 않아도 하늘의 이치 알게 된다. 其出彌遠, (기출미원,) 밖으로 알아보려고 나가면 나갈수록 其知.. 道德經[完] 2012.05.23
만족 할 줄 알면 부족함이 없다 (노자 하편 제46장) 만족 할 줄 알면 부족함이 없다 (노자 하편 제46장) 天下有道, (천하유도,) 천하에 도가 있으면, 却走馬以糞, (각주마이분,) 병마는 거름 내는 농마로 바뀌고 天下無道, (천하무도,) 천하에 도가 없으면, 戎馬生於郊,(융마생어교,) 농마도 징발되어 병마가 된다. 禍莫大於不知足, (화막대어불.. 道德經[完] 2012.05.23
삼략三略 상략上略[31] 재물이 없으면 떠난다 삼략三略 상략上略[31] 재물이 없으면 떠난다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軍無財, 士不來;(군무재 사불래) 「군중에 재화가 없으면 어진 선비는 오지 않는다. 軍無賞, 士不往.」 (군무상 사불왕) 군중에 상이 없으면 어진 선비는 가지 않는다.」 육도삼략[完] 2012.05.23
삼략三略 상략上略[30] 때로는 노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30] 때로는 노하라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慮也, 勇也, (여야 용야) 「지려와 용기는 將之所重;(장지소중) 장수에게 반드시 있어야 될 것이며, 귀중하게 여겨야 될 일이다. 動也, 怒也, (동야 노야) 움직이거나 노하는 것은 將之所用. (장지소용) 장.. 육도삼략[完] 2012.05.23
삼략三略 상략上略[29] 함부로 화내지 마라 삼략三略 상략上略[29] 함부로 화내지 마라 將無慮, (장무로) 장수가 앞날을 염려하지 않게 되면 則謀士去;(즉모사거) 지모 있는 선비는 가버린다. 將無勇, (장무용) 장수에게 용기가 없을 때에는 則吏士恐;(즉이사공) 사졸들은 모두 적을 두려워한다. 將妄動, (장망동) 장수가 경거망.. 육도삼략[完] 2012.05.23
삼략三略 상략上略[28] 비밀을 지켜라 삼략三略 상략上略[28] 비밀을 지켜라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將謀欲密, (장모욕밀) 「장수의 꾀하는 일은 비밀히 하여 새지 않게 해야 된다. 士衆欲一, (사중욕일) 부하 사졸 무리의 마음은 일치 단결하여 서로 협력하게 해야 된다. 攻敵欲疾. (공적욕질) 적을 공격할.. 육도삼략[完] 2012.05.23
삼략三略 상략上略[27] 장수가 가져서는 안 될 행동 삼략三略 상략上略[27] 장수가 가져서는 안 될 행동 將者, 能思士如渴, (장자 능사사여갈) 장수된 자가 선비를 구하기를 물을 찾듯 할 때에는 則策從焉. (즉책종언) 어진 선비들이 모여들어 좋은 계책이 따르기 마련이다. 夫將拒諫, (부장거간) 장수가 남의 충고를 거절하게 되면 則英雄.. 육도삼략[完] 2012.05.23
삼략三略 상략上略[26] 장수가 갖추어야 할 능력 삼략三略 상략上略[26] 장수가 갖추어야 할 능력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將能淸, 能靜, (장능청 능정) 장수는 능히 청렴해야 된다. (청렴할 때에는 사사로움이 범할 수가 없다.) 능히 안정해야 한다. 能平, 能整; (능평 능정) 안정할 때에는 거짓을 가지고 속일 수 없다... 육도삼략[完] 2012.05.23
삼략三略 상략上略[25] 예의와 믿음으로 사람을 써라 삼략三略 상략上略[25] 예의와 믿음으로 사람을 써라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賢者所適, (현자소적) 「어진 이가 가 있는 나라는 其前無敵. (기전무적) 그 군대가 전진할 때에 이에 대항할 적이 없다.」 故士可下而不可驕, (고사가하이불가교) 그러므로 이런 선.. 육도삼략[完] 2012.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