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략三略 상략上略[14] 백성을 사랑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14] 백성을 사랑하라 世能祖祖, (세능조조) 세상의 많은 임금들은 조상을 조상으로서 존경할 줄은 알지만, 鮮能下下;(선능하하) 아래 백성을 아래 백성으로서 사랑할 줄 아는 이는 적다. 祖祖爲親, (조조위친) 조상을 조상으로서 존경하는 자는 친족이 모두 나를 가.. 육도삼략[完] 2012.05.21
삼략三略 상략上略[13] 재물은 그를 주고 나는 그를 얻어라 삼략三略 상략上略[13] 재물은 그를 주고 나는 그를 얻어라 爲者則己, (위자즉기) 적국을 칠 계책을 내어 그 일을 한 자는 자기 자신인데, 有者則士, (유자즉사) 적을 쳐서 얻은 땅이나 재물을 차지하는 자는 장수나 사졸들이다. 焉知利之所在. (언지리지소재) 그리하여 자기에게는 아무.. 육도삼략[完] 2012.05.21
삼략三略 상략上略[12] 전리품은 분배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12] 전리품은 분배하라 得而勿有, (득이물유) 1. 적의 재물을 얻었거든 자기 소유로 해서는 안 된다. 나눠주어야 한다. 居而勿守, (거이물수) 2. 적의 땅을 얻었으면 소유해서는 안 된다. 장수들에게 나누어 줘야 한다. 拔而勿久, (발이물구) 3. 적의 성을 공략했거든 거.. 육도삼략[完] 2012.05.21
완전한 것은 부족한 것처럼 보인다 (노자 하편 제45장) 완전한 것은 부족한 것처럼 보인다 (노자 하편 제45장) 大成若缺(대성약결) 완전히 이루어진 것은 모자란 듯하다 其用不弊(기용불폐) 그러나 그 쓰임에는 다함이 없다 大盈若沖(대영약충) 완전히 가득 찬 것은 빈 듯하다 其用不窮(기용불궁) 그러나 그 쓰임에는 끝이 없다 大直若屈(대직약.. 道德經[完] 2012.05.20
때를 알아 그치면 위태롭지 않다 (노자 하편 제44장) 때를 알아 그치면 위태롭지 않다 (노자 하편 제44장) 名與身孰親(명여신숙친) 명성과 내 몸 어느 것이 더 귀한가 身與貨孰多(신여화숙다) 내 몸과 재산 어느 것이 더 중한가 得與亡孰病(득여망숙병) 얻음과 잃음 어느 것이 더 큰 관심거리인가 是故甚愛必大費(시고심애필대비) 그러므로 무.. 道德經[完] 2012.05.20
부드러운 것이 강한 것을 이긴다 (노자 하편 제43장) 부드러운 것이 강한 것을 이긴다 (노자 하편 제43장) 天下之至柔(천하지지유) 세상에서 그지없이 부드러운 것이 馳騁天下之至堅(치빙천하지지견) 세상에서 더할 수 없이 단단한 것을 이겨 낸다 無有入無間(무유입무간) <없음>만이 틈이 없는 곳에도 들어갈 수가 있다 吾是以知無爲之.. 道德經[完] 2012.05.20
힘만 믿고 설치는 자는 명대로 살지 못한다 (노자 하편 제42장) 힘만 믿고 설치는 자는 명대로 살지 못한다 (노자 하편 제42장) 道生一(도생일) 도가 <하나>를 낳고 一生二(일생이) <하나>가 <둘>을 낳고 二生三(이생삼) <둘>이 <셋>을 낳고 三生萬物(삼생만물) <셋>이 만물을 낳는다 萬物負陰而抱陽(만물부음이포양) 만물은 <음.. 道德經[完] 2012.05.20
삼략三略 상략上略[11] 민심에 순응하여 거사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11] 민심에 순응하여 거사하라 順擧挫之. (순거좌지) 1. 민심에 순응하여 거사하여 적의 세력을 꺾는다. 因勢破之. (인세파지) 2. 적의 세력을 잘 살피어 그로 인하여 적군을 격파한다. 放言過之. (방언과지) 3. 유언비어를 퍼뜨려 적을 현혹시키고 일을 그르치게 한다. .. 육도삼략[完] 2012.05.20
삼략三略 상략上略[10] 적정을 살피고 그에 따라 대처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10] 적정을 살피고 그에 따라 대처하라 敵動伺之, (적동사지) 1. 적이 움직이거든 그 동작을 주의하여 살펴야 한다. 敵近備之, (적근비지) 2. 적군이 가까운 곳에 있거든 엄중하게 수비하라. 敵强下之, (적강하지) 3. 적의 세력이 강하거든 나를 낮추어 겸손히 대하여 그.. 육도삼략[完] 2012.05.20
삼략三略 상략上略[9] 견고히 지키고 인심을 써라 삼략三略 상략上略[9] 견고히 지키고 인심을 써라 獲固守之, (획고수지) 1. 견고한 땅을 얻었을 때는 이를 지켜 다시 빼앗기지 말아야 한다. 獲阨塞之, (획액색지) 2. 좁은 목을 얻었거든 이를 막아 적군의 통행을 금하도록 해야 한다. 獲難屯之, (획난둔지) 3. 험난한 곳을 얻었거든 아.. 육도삼략[完] 201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