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략三略 상략上略[8] 부족하면 채워주고 넘치면 던다 삼략三略 상략上略[8] 부족하면 채워주고 넘치면 던다 貪者豐之. (탐자풍지) 1. 몹시 탐하는 자에게는 재화를 주어 이를 넉넉하게 하여준다. 欲者使之. (욕자사지) 2. 욕망이 있는 자는 그의 욕심을 이루게 해준다. 畏者隱之. (외자은지) 3. 과실을 저지르고 알려질까 두려워하는 자는 .. 육도삼략[完] 2012.05.20
삼략三略 상략上略[7] 심리를 자세히 살펴 다독여라 삼략三略 상략上略[7] 심리를 자세히 살펴 다독여라 軍國之要, (군국지요) 군사를 거느리고 나라를 다스리는 중요한 길은 察衆心, (찰중심) 대중의 심리를 자세히 살펴 施百務. (시백무) 백방의 정무를 베푸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危者安之, (위자안지) 1. 위태롭게 쓰러지려.. 육도삼략[完] 2012.05.20
삼략三略 상략上略[6] 선비와 백성을 믿고 아껴라 삼략三略 상략上略[6] 선비와 백성을 믿고 아껴라 夫爲國之道, (부위국지도) 나라를 다스리는 길은 恃賢與民;(시현여민) 어진 선비와 일반 백성에 기대어야 한다. 信賢如腹心, (신현여복심) 어진 선비를 믿고 의심하지 않는 것을 꼭 자기 심복(心腹)처럼 하고, 使民如四肢, (사민여사지.. 육도삼략[完] 2012.05.20
지나친 엄함과 결백은 생명력이 없다.【前集 061】 지나친 엄함과 결백은 생명력이 없다. 【前集 061】 學者要有段兢業的心思, 학자요유단긍업적심사, 又要有段瀟洒的趣味。 우요유단소쇄적취미。 若一味斂束淸苦, 약일미렴속청고, 是有秋殺無春生, 시유추살무춘생, 何以發育萬物。 하이발육만물。 학문하는 사람은 모름지기 일단 .. 菜根譚[完] 2012.05.19
삼략三略 상략上略[5] 강약을 적절히 써야한다 삼략三略 상략上略[5] 강약을 적절히 써야한다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能柔能剛, (능유능강) 「부드러움과 굳음을 때에 따라 적당히 쓰게 되면 其國彌光;(기국미광) 그 나라는 점차 빛을 낸다. 能弱能强, (능약능강) 약함과 강함을 때에 따라 적당히 쓸 때에 其國彌.. 육도삼략[完] 2012.05.19
삼략三略 상략上略[4] 핵심을 좇아 응수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4] 핵심을 좇아 응수하라 故曰:(고왈) 옛말에 莫不貪强, (막불탐강) 「사람은 모두 강할 것을 탐하고 있으나, 鮮能守微, (선능수미) 미묘한 도를 지킬 수 있는 자는 적다」 고 하였다. 若能守微, (약느수미) 만약 미묘한 도를 지킬 수 있다면 乃保其生. (내보기생) 자.. 육도삼략[完] 2012.05.19
삼략三略 상략上略[3] 사물에 대처하여 변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3] 사물에 대처하여 변하라 端末未見, (단말미견) 무릇 천하의 일은 그 처음이나 끝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을 때는 人莫能知. (인막능지) 보통사람은 그것을 알 도리가 없다. (일의 처음과 끝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을 때에 그 기미를 보고 그것을 알 수 있는 것은 다만 .. 육도삼략[完] 2012.05.19
삼략三略 상략上略[2]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 삼략三略 상략上略[2]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말하기를 柔能制剛, (유능제강) 「유한 것은 강한 것을 능히 제어할 수 있으며, 弱能制强. (약능제강) 약한 것은 강한 것을 능히 제어할 수 있다」 고 하였다. 柔者, 德也;(유자 덕야) 유한 것은 착하고 아름다운.. 육도삼략[完] 2012.05.19
삼략三略 상략上略[1] 마음을 얻어라 삼략三略 상략上略[1] 마음을 얻어라 夫主將之法, (부주장지법) 임금이나 장수의 자리에 있는 자라면 務攬英雄之心, (무람영웅지심) 뛰어난 영웅의 마음을 잡아 자기 심복으로 삼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賞祿有功, (상록유공) 공 있는 자에게는 상을 주고 녹봉을 내리며, 通志于.. 육도삼략[完] 2012.05.19
육도삼략 삼략(三略)에 대하여 삼략(三略)에 대하여 - 두산 세계 대백과 사전 - 삼략「三略」은 진(秦)나라 시대의 황석공(黃石公)이라는 은둔자가 이교라고 하는 곳에서 장량에게 전해준 태공망의 병서라 전해온다. 그런 까닭으로 이 삼략을 「황석공 삼략」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춘추경이 만들어진 것은 선각자가 중.. 육도삼략[完] 2012.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