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7章 武騎士 - 第6篇 犬韜 第7章 武騎士 - 기마병의 조건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選騎士, 奈何?」(선기사 내하) “기사를 선발하는 데는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選騎士之法:(선기사지법) “기사를 고르는 법은 取年四十以.. 육도삼략[完] 2012.05.17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6章 武車士 - 第6篇 犬韜 第6章 武車士 - 전차병의 조건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選車士, 奈何?」 (선거사 내하) “전차를 타는 무사를 선발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選車士之法: (선거사지법) “전차병을 선발하는 방.. 육도삼략[完] 2012.05.17
욕심없이 고요하면 천하는 저절로 바르게 된다 (노자 상편 제37장) 욕심없이 고요하면 천하는 저절로 바르게 된다 (노자 상편 제37장) 道常無爲而無不爲(도상무위이무불위) 도는 언제든지 억지로 일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안 된 것이 없다 侯王若能守之(후왕약능수지) 임금이나 제후가 이를 지키면 萬物將自化(만물장자화) 온갖 것 저절로 달라집니다 化.. 道德經[完] 2012.05.17
뺏으려면 먼저 주어라 (노자 상편 제36장) 뺏으려면 먼저 주어라 (노자 상편 제36장) 將欲歙之(장욕흡지) 오므리려면 必固張之(필고장지) 일단 펴야 한다 將欲弱之(장욕약지) 약하게 하려면 必固强之(필고강지) 일단 강하게 해야 한다 將欲廢之(장욕폐지) 폐하게 하려면 必固興之(필고흥지) 일단 흥하게 해야 한다 將欲奪之(장.. 道德經[完] 2012.05.17
진리는 평범하다 (노자 상편 제35장) 진리는 평범하다 (노자 상편 제35장) 執大象, (집대상,) 도를 지켜 살아가면 天下往, (천하왕,) 세상 어디를 가도 往而不害, (왕이불해,) 방해하는 것이 없어 安平太. (안평태.) 항상 마음이 편안하고 화평하고 태평하다 樂與餌, 낙여이, 즐거운 음악과 좋은 음식이 있는 곳에서는 過客止, 과.. 道德經[完] 2012.05.17
스스로 크다고 생각하지 않으므로 크게 된다 (노자 상편 제34장) 스스로 크다고 생각하지 않으므로 크게 된다 (노자 상편 제34장) 大道氾兮, (대도범혜,) 큰 도는 넉넉하여 한 곳에 못 박혀 있지 않아 其可左右. (기가좌우.) 좌우로 없는 곳 없이 자유자재 한다 萬物恃之而生而不辭, (만물시지이생이불사,) 만물은 이 도에 의해 생겨나지만 한 마디 자랑도 .. 道德經[完] 2012.05.17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5章 均兵[3] - 第6篇 犬韜 第5章 均兵[3]- 전차와 기병의 체계와 전법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물었다. 「車騎之吏數與陣法, 奈何?」(거기지리수여진법 내하) “전차와 기병에 쓰이는 장교의 수와 그 포진하는 방법은 어떠합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置車之吏數:(치거지리수) .. 육도삼략[完] 2012.05.17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5章 均兵[2] - 第6篇 犬韜 第5章 均兵[2]- 보병, 전차, 기병의 전투력 비교 三軍之衆成陣而相當, (삼군지중성진이상당) “삼군의 무리가 진용을 이루고서 적을 대한다면 則易戰之法:(즉이전지법) 평지에서의 전투력의 비율은 一車當步卒八十人, (일거당보졸팔십인) 전차 한 대는 보병 80명에 상당하.. 육도삼략[完] 2012.05.17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5章 均兵[1] - 第6篇 犬韜 第5章 均兵[1]- 전투력은 운용하기에 따라 다르다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以車與步卒戰, (이거여보졸전) “전차로써 적의 보병과 싸울 경우 一車當幾步卒? (일거당기보졸) 전차 한 대의 힘은 보병 몇 사람의 힘에 상당하며, 幾步卒當一車? .. 육도삼략[完] 2012.05.17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4章 敎戰 - 第6篇 犬韜 第4章 敎戰 - 군사훈련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合三軍之衆. (합삼군지중) “삼군을 집합시키고 사졸들을 위하여 欲令士卒服習敎戰之道, (욕령사졸복습교전지도) 그 진퇴의 동작을 익히고자 하는데 전법을 가르치려면 奈何?」(내하) 어떻게 .. 육도삼략[完] 201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