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그릇은 더디 이루어진다 (노자 하편 제41장) 큰그릇은 더디 이루어진다 (노자 하편 제41장) 上士聞道(상사문도) 뛰어난 사람은 도에 대해 들으면 勤而行之(근이행지) 힘써 행하려 하고 中士聞道(중사문도) 어중간한 사람은 도에 대해 들으면 若存若亡(약존약망) 이런가 저런가 망설이고 下士聞道(하사문도) 못난 사람은 도에 대해 들.. 道德經[完] 2012.05.18
되돌아오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노자 하편 제40장) 되돌아오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노자 하편 제40장) 反者道之動(반자도지동) 근본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고 弱者道之用(약자도지용) 부드럽고 약한 것이 도의 작용이다. 天下萬物生於有(천하만물생어유) 세상의 만물은 천지음양의 기운인 유에서 나오고 有生於無(유생어.. 道德經[完] 2012.05.18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노자 하편 제39장)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노자 하편 제39장) 昔之得一者(석지득일자) 예부터 <하나>를 얻은 것들이 있다 天得一以淸(천득일이청) 하늘은 하나를 얻어 맑고 地得一以寧(지득일이녕) 땅은 하나를 얻어 편안하고 神得一以靈(신득일이령) 신은 하나를 얻어 영묘하고 谷得一.. 道德經[完] 2012.05.18
무위자연의 도덕은 인위적인 도덕이 아니다 (노자 하편 제38장) 무위자연의 도덕은 인위적인 도덕이 아니다 (노자 하편 제38장) 上德不德(상덕불덕) 훌륭한 덕의 사람은 자기의 덕을 의식하지 않는다 是以有德(시이유덕) 그러기에 정말로 덕이 있는 사람이다 下德不失德(하덕불실덕) 훌륭하지 못한 덕의 사람은 자기의 덕을 의식한다 是以無德(시이무.. 道德經[完] 2012.05.18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10章 戰步 - 第6篇 犬韜 第10章 戰步 - 보병의 대전차전, 대기병전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步兵與車騎戰, 奈何?」(보병여거기전 내하) “보병으로 전차나 기병과 싸울 때는 어떻게 하면 좋습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步兵與車騎戰者, (보병여거.. 육도삼략[完] 2012.05.18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9章 戰騎[2] - 第6篇 犬韜 第9章 戰騎[2]- 기마전에서 불리한 상황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물었다. 「九敗, 奈何?」 (구패 내하) “패하는 아홉 가지 길이란 무엇입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凡以騎陷敵而不能破陣;(범이기함적이불능파진) “무릇 기병으로써 적진을 함락하고.. 육도삼략[完] 2012.05.18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9章 戰騎[1] - 第6篇 犬韜 第9章 戰騎[1]- 기마전에서 유리한 상황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戰騎, 奈何?」(전기 내하) “기병에 의한 전투방법은 어떻습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騎有十勝九敗.」(기유십승구패) “기병에는 이기는 열 가지 길과 .. 육도삼략[完] 2012.05.18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3] -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3]- 전차전에 유리한 지형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물었다. 「八勝之地, 奈何?」(팔승지지 내하) “승리하는 여덟 가지 지형은 어떤 것입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敵之前後, 行陣未定, (적지전후 행진미정) “적의 앞뒤나 행오나 진열이 아.. 육도삼략[完] 2012.05.18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2] -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2]- 전차전에서의 사지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물었다. 「十死之地, 奈何?」(십사지지 내하) “죽음의 열 가지 지형이란 어떠한 것입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했다. 「往而無以還者, (왕이무이원자) “나아갈 수는 있지만 돌아갈 수는 없는 지형은 車.. 육도삼략[完] 2012.05.17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1] -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1]- 전차전에서의 지형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알)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戰車, 奈何?」 (전거 내하) “전차에 대한 전법을 듣고 싶습니다.”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步貴知變動, (보귀지변동) “보병은 적의 행동의 변화를 알아서 그 허를.. 육도삼략[完] 201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