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二 爲學 50、공부를 쌓아 안까지 도달하면 이에 반응이 따른다. 卷二 爲學 50、공부를 쌓아 안까지 도달하면 이에 반응이 따른다. 修養之所以引年(수양지소이인년) 수양을 함으로써 수명을 늘리는 것 國祚之所以祈天永命(국조지소이기천영명) 국운의 번영을 하늘에 빌어 명을 기다리는 것 常人之至於聖賢(상인지지어성현) 보통 사람이 성현에 이르는 .. 近思錄 2015.09.08
卷二 爲學 49、지금의 학자들은 고원한 말만을 힘쓸 뿐이다. 卷二 爲學 49、지금의 학자들은 고원한 말만을 힘쓸 뿐이다. 伊川先生曰(이천선생왈) 이천 선생이 말하기를 古之學者(고지학자) 옛날의 학자는 優柔厭飫(우유염어) 마음의 여유가 있어서 자득(自得)함이 많았는데 有先後次序(유선후차서) 공부에 선후의 순서가 있었다. 今之學者(금지.. 近思錄 2015.09.08
卷二 爲學 48、뜻이 넓어도 굳세지 않으면 서기가 어렵다. 卷二 爲學 48、뜻이 넓어도 굳세지 않으면 서기가 어렵다. 弘而不毅(홍이불의) 則難立(칙난립) 뜻이 넓어도 굳세지 않으면, 서기가 어렵고 毅而不弘(의이불홍) 의지가 강하더라도 뜻이 넓지 않으면, 則無以居之(칙무이거지) 도에 들어갈 수가 없다. <정씨유서(程氏遺書) 제십사(第十四)&g.. 近思錄 2015.09.08
卷二 爲學 47、배움을 넓게 하고 뜻을 독실하게 하라. 卷二 爲學 47、배움을 넓게 하고 뜻을 독실하게 하라. 博學而篤志(박학이독지) 배움을 넓게 하고 뜻을 독실하게 하며 切問而近思(절문이근사) 간절히 묻고 가까운 것부터 생각해 나가면 何以言仁在其中矣(하이언인재기중의) 그 가운데 인(仁)이 있다고 왜 말하였는가? 學者要思得之(학자.. 近思錄 2015.09.08
卷二 爲學 46、군자는 백성을 진작시키고 자기의 덕을 기른다. 卷二 爲學 46、군자는 백성을 진작시키고 자기의 덕을 기른다. 有人治園圃(유인치원포) 役知力甚勞(역지력심로) 어떤 사람이 밭농사에, 지혜와 힘을 써서 매우 수고로웠다. 先生曰(선생왈) 명도선생이 말하기를 蠱之象(고지상) 고괘(蠱卦)의 상사(象辭)에 君子以振民育德(군자이진민육덕).. 近思錄 2015.09.08
卷二 爲學 45、학문의 목표와 결과를 확인해야 한다. 卷二 爲學 45、학문의 목표와 결과를 확인해야 한다. 凡人才學,(범인재학) 사람이 배우기 시작할 때에는 便須知著力處。(편수지착력처) 모름지기 무엇을 위하여 노력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하고 既學,(기학) 이미 배우고 있을 때에는 便須知得力處。(편수지득력처) 모름지기 노력한.. 近思錄 2015.09.08
卷二 爲學 44、건도(乾道)와 곤도(坤道)를 알아야 한다. 卷二 爲學 44、건도(乾道)와 곤도(坤道)를 알아야 한다. "忠信所以進德,(충신소이진덕) 충실과 믿음은 덕으로 나아가게 하는 길이요 修辭立其誠,(수사립기성) 所以居業者,(소이거업자) 말을 닦아 그 정성을 세우는 것은, 학업을 닦는 방법이니, 乾道也。(건도야) 이것이 건도이다 "敬以.. 近思錄 2015.09.08
卷二 爲學 43. 말이 충신(忠信)하고 행동을 조심하라. 卷二 爲學 43. 말이 충신(忠信)하고 행동을 조심하라. 明道先生曰(명도선생왈) 명도선생이 말하기를 學只要鞭辟近裏,(학지요편벽근리) 著己而已。(저기이이) 학문이란 스스로 힘써서 도에 가깝도록 자기를 이끌어가야 하는 것이다. 故"切問而近思,(고절문이근사) 그러므로 절실하.. 近思錄 2014.10.17
卷二 爲學 42. 자연 속에서 진실과 거짓을 깨달아야 한다. 卷二 爲學 42. 자연 속에서 진실과 거짓을 깨달아야 한다. 視聽思慮動作,(시청사려동작) 보고 듣고 생각하고 움직여서 일하는 것은 皆天也。(개천야) 모두가 자연이다. 人但於其中(인단어기중) 사람은 다만 그 속에서 要識得真與妄爾。(요식득진여망이) 진실과 거짓을 깨달아야 한다.. 近思錄 2014.10.17
卷二 爲學 41. 스스로 얻는 것이 자득(自得)이다. 卷二 爲學 41. 스스로 얻는 것이 자득(自得)이다. 大抵學(대저학) 대체로 학문하는데 있어서 不言而自得者,(불언이자득자) 乃自得也。(내자득야) 말하지 않고 스스로 얻는 것이, 곧 자득(自得)이다. 有安排佈置者,(유안배포치자) 이것 저것을 해서 억지로 얻는 것은 皆非自得也。(개비자.. 近思錄 201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