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4.里仁編 6.하루라도 인(仁)에 힘 쓸 수 있겠는가. 論語 4.里仁編 6.하루라도 인(仁)에 힘 쓸 수 있겠는가.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我未見好仁者(아미견호인자)와 惡不仁者 (오불인자)라 "나는 아직 인을 좋아하는 자와 인하지 않음을 미워하는 자를 보지 못했다. 好仁者(호인자)는 無以尙之(무이상지)요 인을 좋아하는 자는 더 보.. 논어(論語)[完] 2012.10.30
論語 4.里仁編 5.인(仁)을 잊지 않아야 군자다. 論語 4.里仁編 5.인(仁)을 잊지 않아야 군자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富與貴(부여귀)는 是人之所欲也 (시인지소욕야)나 "부귀는 사람들이 원하는 바이나 不以其道得之(불이기도득지)어든 不處也 (불처야)하며 정당하게 얻지 아니하면 처하지 말아야 하며 貧與賤(빈여천)은 是.. 논어(論語)[完] 2012.10.30
論語 4.里仁編 4.인(仁)에 뜻을 두면 악함이 없다. 論語 4.里仁編 4.인(仁)에 뜻을 두면 악함이 없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苟志於仁矣(구지어인의)면 無惡也(무악야)이니라 "진실로 인에 뜻이 있으면 악이 없다." 논어(論語)[完] 2012.10.30
한비자韓非子 제3편第3篇 난언難言 : 말이 어려운 열두 가지 이유 한비자韓非子 제3편第3篇 난언難言 : 말이 어려운 열두 가지 이유 - 韓非子 第3篇 難言[1]- 臣非非難言也,(신비비난언야) 신 한비는 원래 말하는데 주저하는 사람이 아니지만, 所以難言者: (소이난언자) 이번만은 주저할 수밖에 없으니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言順比滑澤,(언순비.. 한비자 2012.10.26
한비자韓非子 제2편第2篇 존한存韓 : 한나라 왕에 대한 이사의 상서 한비자韓非子 제2편第2篇 존한存韓 : 한나라 왕에 대한 이사의 상서 - 韓非子 第2篇 存韓[3]- 李斯往詔韓王,(이사왕조한왕) 未得見, (미득견) 이사는 한나라에 도착하였으나 한나라 왕은 알현을 허락하지 않자, 因上書曰:(인상서왈) 다음과 같은 상서를 올렸다. 「昔秦,(석진) 韓勠.. 한비자 2012.10.26
論語 4.里仁編 3.인자(仁者)만이 선악을 가린다. 論語 4.里仁編 3.인자(仁者)만이 선악을 가린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惟仁者(유인자)이아 能好人(능호인)하며 能惡人(능악인)이니라 "오직 인한 사람만이 남을 좋아할 수 있고, 남을 미워할 수 있다." 논어(論語)[完] 2012.10.26
論語 4.里仁編 2.인자(仁者)와 지자(智者) 論語 4.里仁編 2.인자(仁者)와 지자(智者)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不仁者(불인자)는 不可以久處約 (불가이구처약)이며 "인하지 않은 사람은 오랫동안 곤궁함에 처해 있지 못하고 不可以長處樂 (불가이장처락)이니 즐거움도 오래 지내지 못한다. 仁者(인자)는 安仁 (안인)하고 인.. 논어(論語)[完] 2012.10.26
論語 4.里仁編 1.인(仁)에 사는 것이 아름답다. 論語 4.里仁編 1.인(仁)에 사는 것이 아름답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里仁(이인)이 爲美(위미)하니 "마을이 어진 것은 아름다운 것이다. 擇不處仁(택불처인)하면 焉得知(언득지)리오 어진 마을을 골라 살지 아니하면 어찌 지혜롭다고 할 수 있는가?" 논어(論語)[完] 2012.10.26
論語 3.八佾編 26.근본이 없는 사람에게 무엇을 취하랴 論語 3.八佾編 26.근본이 없는 사람에게 무엇을 취하랴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居上不寬(거상불관)하며 "윗자리에 있으면서 너그럽지 못하며, 爲禮不敬(위례불경)하며 예를 시행할 때에 공경스럽지 못하며, 臨喪不哀(임상불애)면 吾何以觀之哉(오하이관지재)리오 상을 당해서 슬.. 논어(論語)[完] 2012.10.26
論語 3.八佾編 25.소악(韶樂)과 무악(武樂) 論語 3.八佾編 25.소악(韶樂)과 무악(武樂) 子謂韶(자위소)하시되 盡美矣(진미의)오 又盡善也(우진선야)라하시고 공자가 소라는 악(樂)을 평하기를, "다 아름답고, 또 다 착하다." 고 하고, 謂武(위무)하사대 盡美矣(진미의)오 未盡善也(미진선야)라하시다 무라는 악을 평하기를, "다 아름답.. 논어(論語)[完] 2012.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