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綱 율기육조(律己六條) 2. 청심(淸心 : 깨끗한 마음가짐) 2綱 율기육조(律己六條) 2. 청심(淸心 : 깨끗한 마음가짐) 原文 廉者(염자) 牧之本務(목지본무) 청렴이란 목민관의 기본 임무 이며 萬善之源(만선지원) 諸德之根(제덕지근) 모든 선(善)의 원천이요. 모든 덕(德)의 근본이다. 不廉而能牧者(불렴이능목자) 未之有也.(미지유아) 청렴하지 않고.. 牧民心書[完] 2014.01.16
2綱 율기육조(律己六條) 1.칙궁(飭躬 : 단정한 몸가짐) 2綱 율기육조(律己六條) 1.칙궁(飭躬 : 단정한 몸가짐) 原文 興居有節(흥거유절) 冠帶整飭(관대정칙) 기거에 정도가 있으며 복장(관대(冠帶))를 단정히 하고 莅民以莊(리미이장) 古之道也.(고지도야.) 백성을 대할 때에 장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은 옛날의 도이다. 公事有暇(공사유가) 必.. 牧民心書[完] 2014.01.16
1綱 부임육조(赴任六條) 4. 계행(啓行 : 신관(新官)의 부임 행차) 1綱 부임육조(赴任六條) 4. 계행(啓行 : 신관(新官)의 부임 행차) 原文 啓行在路(계행재로) 亦唯莊和簡黙(역유장화간묵) 부임길에서도 장중하고 화평하며, 간결하고 과묵하여 似不能言者.(사불능언자.) 마치 말을 못하는 사람처럼 하여야 한다. 道路所由(도로소유) 其有忌諱(기유기휘) .. 牧民心書[完] 2014.01.15
1綱 부임육조(赴任六條) 3. 사조(辭朝 : 부임 인사) 1綱 부임육조(赴任六條) 3. 사조(辭朝 : 부임 인사) 原文 旣署兩司(기서양사) 乃辭朝也.(내사조야.) 양사(兩司)의 서경(署經)이 끝난 후 임금에게 부임 인사를 드려야 한다. 歷辭公卿臺諫(역사공경대간) 공경(公卿)과 대간(臺諫)에게 부임 인사를 드릴 때에는 宜自引材器不稱(의자인재기불칭.. 牧民心書[完] 2014.01.15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작은 나라이면서 무례하면 멸망한다.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작은 나라이면서 무례하면 멸망한다. - 韓非子 第10篇 十過[11]- 奚謂國小無禮? (해위국소무예) 무엇을 일러 작은 나라이면서도 예의가 없다 하는가? 昔者晉公子重耳出亡,(석자진공자중이출망) 過於曹, (과어조) 옛날 진나라의 공자 중이가 망명.. 한비자 2014.01.08
論語 6.雍也編 21.지자와 인자 論語 6.雍也編 21.지자와 인자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知者(지자)는 樂水(요수)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仁者(인자)는 樂山(요산)이니 어진 사람은 산을 즐긴다. 知者(지자)는 動(동)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움직이고 仁者(인자)는 靜(정)하며 어진 사람은 고요하며, 知者(.. 논어(論語)[完] 2013.05.12
論語 6.雍也編 20.지혜와 인 論語 6.雍也編 20.지혜와 인 樊遲(번지) 問知(문지)한대 子曰(자왈) 번지가 지(知)에 대해서 묻자, 공자가 대답했다. 務民之義(무민지의)오 敬鬼神而遠之(경귀신이원지)면 "백성에게 의를 힘쓰게 하고,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면 可謂知矣(가위지의)니라 그것을 지(知)라고 할 수 있다." 問仁.. 논어(論語)[完] 2013.05.12
論語 6.雍也編 19.재주에는 한계가 있다. 論語 6.雍也編 19.재주에는 한계가 있다.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中人以上(중인이상)은 可以語上也(가이어상야)어니와 "중간 이상쯤 가는 사람에게는 높은 수준의 것을 말해 줄 수 있으나, 中人以下(중인이하)는 不可以語上也(불가이어상야)니라 중간이하의 사람에게는 높은 수준.. 논어(論語)[完] 2013.05.12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충신의 말을 듣지 않으면 웃음거리가 된다.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충신의 말을 듣지 않으면 웃음거리가 된다. - 韓非子 第10篇 十過[9]- 奚謂過而不聽於忠臣? (해위과이불청어충신) 과실을 범하면서도 충신의 말을 듣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昔者齊桓公九合諸侯,(석자제환공규합제후) 一匡天下,(일광천하) .. 한비자 2013.05.11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국도를 떠나 멀리 여행하는 것은 위험하다.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국도를 떠나 멀리 여행하는 것은 위험하다. - 韓非子 第10篇 十過[8]- 奚謂離內遠遊? (해위리내원유) 국도를 떠나 멀리 여행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昔者田成子遊於海而樂之。(석자전성자유어해이락지) 옛날 제나라의 전성자는 멀리 바닷가로 여.. 한비자 2013.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