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은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前集 090】 운명은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前集 090】 天薄我以福, (천박아이복,) 하늘이 나에게 복을 박하게 준다면 吾厚吾德, (오후오덕,) 나는 스스로의 덕을 두텁게 하여 以迓之. (이아지.) 이를 맞이할 것이고, 天勞我以形, (천노아이형,) 하늘이 내 몸을 수고롭게 한다면 吾逸吾心, (오일.. 菜根譚[完] 2012.10.25
결심에 대한 의심은 부끄러울 뿐이다【前集 089】 결심에 대한 의심은 부끄러울 뿐이다 【前集 089】 舍己, 毋處其疑. (사기, 무처기의.) 어떤 일에 스스로를 바쳐 일하기로 했다면 處其疑, (처기의,) 다시는 그 일을 의심하지 말라. 卽所舍之志多愧矣. (즉소사지지다괴의.) 의심하게 되면 결심한 자신의 의지에 부끄러움을 주게 된다. 施人, .. 菜根譚[完] 2012.10.25
고요 속에 고요함은 참 고요가 아니다【前集 088】 고요 속에 고요함은 참 고요가 아니다 【前集 088】 靜中靜非眞靜. (정중정비진정.) 고요한 곳에서 고요함은 動處靜得來, (동처정득래,) 참다운 고요함이 아니다. 纔是性天之眞境. (재시성천지진경.) 소란함 속에서 고요함을 지켜야만 마음의 참다운 경지에 이를 수가 있다. 樂處樂非眞.. 菜根譚[完] 2012.10.25
마음을 보며 도를 체득하는 법【前集 087】 마음을 보며 도를 체득하는 법 【前集 087】 靜中念慮澄徹, (정중념려징철,) 고요한 가운데 생각이 맑으면 見心之眞體. (견심지진체.) 마음의 본체를 볼 수 있고 閑中氣象從容, (한중기상종용,) 한가한 가운데 기상이 조용하면 識心之眞機. (식심지진기.) 마음의 참 기틀을 알게 될 것이다 .. 菜根譚[完] 2012.10.25
論語 3.八佾編 18.예를 다하는 것은 아첨이 아니다. James Coleman - Afternoon Breezes 論語 3.八佾編 18.예를 다하는 것은 아첨이 아니다.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事君盡禮(사군진례)를 人(인)이 以爲諂也(이위첨야)라 하나니라 '임금 섬기는데 예를 극진히 하는 것을 사람들이 아첨한다고 하는구나.' 논어(論語)[完] 2012.10.24
論語 3.八佾編 17.허례(虛禮)도 없는 것 보다는 낫다. James Coleman - a life of love 論語 3.八佾編 17.허례(虛禮)도 없는 것 보다는 낫다. 子貢(자공)이 欲去告朔之羊(욕거고삭지희양)한 대 자공이 매월 초하루에 희생양을 종묘에 바치는 고삭 의식을 폐지하려고 하였다.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賜也(사야)아 爾愛其羊(이애기양)가 我愛其禮(.. 논어(論語)[完] 2012.10.24
論語 3.八佾編 16.폭력보다는 예를 지켜라 James Coleman - a peaceful pause 論語 3.八佾編 16.폭력보다는 예를 지켜라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射不主皮(사불주피)는 "활을 쏘는데 가죽 뚫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것은, 爲力不同科(위력부동과)하니 모든 사람의 힘이 똑같지 않기 때문이다. 古之道也(고지도야)니라 이것이 바로 .. 논어(論語)[完] 2012.10.24
論語 3.八佾編 15.아는 것도 물어서 행하는 것이 예이다. James Coleman - a spring to remember 論語 3.八佾編 15.아는 것도 물어서 행하는 것이 예이다. 子入大廟(자입대묘)하사 每事(매사)를 問(문)하신대 공자가 태묘에 들어가서는 매사를 물었다. 或(혹)이 曰(왈) 孰謂人之子(숙위추인지자)를 知禮乎(지예호)오 어떤 사람이 , "누가 추 지방 출신의 공자를 .. 논어(論語)[完] 2012.10.24
論語 3.八佾編 14.나는 주나라의 예를 따르겠다. 論語 3.八佾編 14.나는 주나라의 예를 따르겠다.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周監於二代(주감어이대)하니 郁郁乎文哉(욱욱호문재)라 "주나라가 이대의 예를 거울로 삼았으므로, 빛나고 빛나는 문채로다! 吾從周(오종주)하니라 내가 주나라 문화를 따르리다." 논어(論語)[完] 2012.10.24
論語 3.八佾編 13.오직 하늘에 기도하라. 論語 3.八佾編 13.오직 하늘에 기도하라. 王孫賈(왕손가) 問曰(문왈) 왕손가가 물었다. 與其媚於奧(여기미어오)론 寧媚於竈(영미어조)라하니 何謂也(하위야)잇고 " '아랫목 귀신에게 아첨하기보다는 차라리 부뚜막 귀신에게 아첨하는 것이 낫다' 고 하는데, 그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입.. 논어(論語)[完] 2012.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