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4.里仁編 11.군자 생각, 소인 생각 論語 4.里仁編 11.군자 생각, 소인 생각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군자)는 懷德(회덕)하고 小人(소인)은 懷土(회토)하며 "군자는 덕을 생각하나 소인은 편히 살 곳을 생각하며, 君子(군자)는 懷刑(회형)하고 小人(소인)은 懷惠(회혜)니라 군자는 법을 생각하나 소인은 혜택이나 .. 논어(論語)[完] 2012.10.31
論語 4.里仁編 10.오직 의리를 쫓는다. 論語 4.里仁編 10.오직 의리를 쫓는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之於天下也(군자지어천하야)에 無適也(무적자)하며 "군자는 천하에 꼭 해야만 된다는 것도 없고, 無莫也(무막야)하여 義之與比(의지여비)니라 하면 안 된다는 것도 없으며, 오직 의리만 쫓는다." 논어(論語)[完] 2012.10.31
論語 4.里仁編 9.도에 뜻을 둔 선비 論語 4.里仁編 9.도에 뜻을 둔 선비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士志於道(사지어도) 而恥惡衣惡食者(이치악의악식자)는 "선비가 도에 뜻을 두고 허름한 옷과 맛없는 음식을 부끄러워한다면 未足與議也(미족여의야)니라 더불어 의논할 수 없다. 논어(論語)[完] 2012.10.31
論語 4.里仁編 8.아침에 도에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論語 4.里仁編 8.아침에 도에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朝聞道(조문도)면 夕死(석사)라도 可矣(가의)니라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논어(論語)[完] 2012.10.31
論語 4.里仁編 7.허물을 보면 인(仁)을 알 수 있다. 論語 4.里仁編 7.허물을 보면 인(仁)을 알 수 있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人之過也(인지과야) 各於其黨 (각어기당)이니 "사람의 허물은 각각 부류에 따라 다르니, 觀過(관과)에 斯知仁矣(사지인의)니라 허물을 보면 곧 인함을 알 수 있다." 논어(論語)[完] 2012.10.30
論語 4.里仁編 6.하루라도 인(仁)에 힘 쓸 수 있겠는가. 論語 4.里仁編 6.하루라도 인(仁)에 힘 쓸 수 있겠는가.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我未見好仁者(아미견호인자)와 惡不仁者 (오불인자)라 "나는 아직 인을 좋아하는 자와 인하지 않음을 미워하는 자를 보지 못했다. 好仁者(호인자)는 無以尙之(무이상지)요 인을 좋아하는 자는 더 보.. 논어(論語)[完] 2012.10.30
論語 4.里仁編 5.인(仁)을 잊지 않아야 군자다. 論語 4.里仁編 5.인(仁)을 잊지 않아야 군자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富與貴(부여귀)는 是人之所欲也 (시인지소욕야)나 "부귀는 사람들이 원하는 바이나 不以其道得之(불이기도득지)어든 不處也 (불처야)하며 정당하게 얻지 아니하면 처하지 말아야 하며 貧與賤(빈여천)은 是.. 논어(論語)[完] 2012.10.30
論語 4.里仁編 4.인(仁)에 뜻을 두면 악함이 없다. 論語 4.里仁編 4.인(仁)에 뜻을 두면 악함이 없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苟志於仁矣(구지어인의)면 無惡也(무악야)이니라 "진실로 인에 뜻이 있으면 악이 없다." 논어(論語)[完] 2012.10.30
한비자韓非子 제3편第3篇 난언難言 : 말이 어려운 열두 가지 이유 한비자韓非子 제3편第3篇 난언難言 : 말이 어려운 열두 가지 이유 - 韓非子 第3篇 難言[1]- 臣非非難言也,(신비비난언야) 신 한비는 원래 말하는데 주저하는 사람이 아니지만, 所以難言者: (소이난언자) 이번만은 주저할 수밖에 없으니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言順比滑澤,(언순비.. 한비자 2012.10.26
한비자韓非子 제2편第2篇 존한存韓 : 한나라 왕에 대한 이사의 상서 한비자韓非子 제2편第2篇 존한存韓 : 한나라 왕에 대한 이사의 상서 - 韓非子 第2篇 存韓[3]- 李斯往詔韓王,(이사왕조한왕) 未得見, (미득견) 이사는 한나라에 도착하였으나 한나라 왕은 알현을 허락하지 않자, 因上書曰:(인상서왈) 다음과 같은 상서를 올렸다. 「昔秦,(석진) 韓勠.. 한비자 2012.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