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3.八佾編 19.임금이 예의가 있으면 신하가 충성한다. James Coleman - golden_moment 論語 3.八佾編 19.임금이 예의가 있으면 신하가 충성한다. 定公(정공)이 問(문) 정공이 물었다. 君事臣(군사신)하며 臣事君(신사군)하되 如之何(여지하)잇고 "임금이 신하를 부리고,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데 어떻게 해야 합니까?" 孔子對曰 (공자대왈) 공자가 대답했다.. 논어(論語)[完] 2012.10.25
明心寶鑑 孝行編 4 부모를 존경함은 스스로를 사랑하는 길이다. 明心寶鑑 孝行編 4 부모를 존경함은 스스로를 사랑하는 길이다. 子曰(자왈), 공자가 말하기를, 父命召(부명소)어시든 아버지가 부르면 唯而不諾(유이불락)하고 즉시 예, 하고 대답하고 머뭇거리지 않고 나오며, 食在口則吐之(식재구즉토지)니라. 음식이 입에 있으면 이를 뱉어야 한다. [영.. 明心寶鑑[完] 2012.10.25
明心寶鑑 孝行編 3 어버이를 어떻게 섬길 것인가 明心寶鑑 孝行編 3 어버이를 어떻게 섬길 것인가 子曰(자왈), 공자가 말하기를, 父母在(부모재)어시든 부모가 살아 계실 때에는 不遠遊(불원유)하며 멀리 떠나지 말 것이며, 遊必有方(유필우방)이니라. 떠나되 반드시 방향을 알려야 한다. [영 역] as long as one's parents are alive, one should not ventu.. 明心寶鑑[完] 2012.10.25
明心寶鑑 孝行編 2 효의 기본자세 明心寶鑑 孝行編 2 효의 기본자세 子曰(자왈), 공자가 말하기를, 孝子之事親也(효자지사친야)에 효자가 부모를 섬김에 있어 居則致其敬(거즉치기경)하고 기거할 때에는 그 공경을 다하고, 養則致其樂(양즉치기락)하고 봉양할 때에는 즐거움을 다하고, 病則到其憂(병즉치기우)하고 병에 .. 明心寶鑑[完] 2012.10.25
明心寶鑑 孝行編 1 은혜가 하늘과 같아 明心寶鑑 孝行編 1 은혜가 하늘과 같아 詩曰(시왈), 《시경》에 이르기를, 父兮生我(부혜생아)하시고 母兮鞠我(모혜국아)하시니, 아버님이 나를 낳으시고 어머님이 나를 기르시니, 哀哀父母(애애부모)여 生我勞(생아구로)셨다. 아! 슬프도다, 부모님이시여!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애쓰시.. 明心寶鑑[完] 2012.10.25
군자의 위선은 소인의 악행과 같다【前集 095】 군자의 위선은 소인의 악행과 같다 【前集 095】 君子而詐善, (군자이사선,) 군자로서 위선 된 것은 無異小人之肆惡. (무리소인지사악.) 소인이 악을 거침없이 행하는 것과 같다. 君子而改節, (군자이개절,) 군자로서 지조를 꺾는 것은 不及小人之自新. (불급소인지자신.) 소인이 스스로의 .. 菜根譚[完] 2012.10.25
지금 나의 행함이 훗날 자손의 복이다【前集 094】 지금 나의 행함이 훗날 자손의 복이다 【前集 094】 問祖宗之德澤! (문조종지덕택!) 조상이 남겨 준 은혜를 무엇인가. 吾身所享者是, (오신소향자시,) 그것은 지금 내가 살아 누리는 모든 것이니, 當念其積累之難. (당염기적루지난.) 그 쌓기 위해 어려웠음을 명심하라. 問子孫之福祉! (문자.. 菜根譚[完] 2012.10.25
권세에 탐하면 지위는 있되 거지와 같다【前集 093】 권세에 탐하면 지위는 있되 거지와 같다 【前集 093】 平民肯種德施惠, (평민긍종덕시혜,) 평민이라도 기꺼이 덕을 심고 은혜를 베풀면 便是無位的公相. (변시무위적공상.) 벼슬 없는 재상이 되고 士夫徒貪權市寵, (사부도탐권시총,) 고관대작도 권세에 탐닉하고 은총을 판다면 竟成有爵.. 菜根譚[完] 2012.10.25
사람을 보려면 노년을 보라【前集 092】 사람을 보려면 노년을 보라 【前集 092】 聲妓,(성기,) 晩景從良, (만경종량,) 기녀라도 늘그막에 한 남편을 따른다면 一世之臙花無碍. (일세지연화무애.) 한때의 화장기도 문제될 것이 없고, 貞婦,(정부,) 白頭失守, (백두실수,) 정숙한 여자라도 늘그막에 정조를 잃으면 半生之情苦俱非.. 菜根譚[完] 2012.10.25
뜻이 곧은 선비는 하늘이 길을 열어준다【前集 091】 뜻이 곧은 선비는 하늘이 길을 열어준다 【前集 091】 貞士無心徼福, (정사무심요복,) 뜻이 곧은 선비는 애써 복을 구하지 않아도 天卽就無心處牖其衷. (천즉취무심처유기충.) 하늘은 그 구하지 않는 자리로 나아가서 그 마음을 열어 준다. 憸人著意避禍, (섬인저의피화,) 음흉.. 菜根譚[完] 201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