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넓으면 집착하지 않는다.【後集 114】 마음이 넓으면 집착하지 않는다. 【後集 114】 心曠(심광) 마음이 넓으면 則萬鍾如瓦缶(칙만종여와부) 만종의 녹도 기와나 항아리쪽 같고 心隘(심애) 마음이 좁으면 則一髮似車輪(칙일발사차륜) 터럭 하나도 수레바퀴마냥 크게 보인다 菜根譚[完] 2014.08.20
높은 곳에 오르면 마음이 넓어진다.【後集 113】 높은 곳에 오르면 마음이 넓어진다. 【後集 113】 登高(등고) 높은 데 오르면 使人心曠(사인심광) 사람의 마음이 넓어지고 臨流(임류) 흐름에 임하면 使人意遠(사인의원) 사람의 뜻이 멀어지며 讀書於雨雪之夜(독서어우설지야) 비나 눈이 오는 밤에 글을 읽으면 使人神淸(사인신청) 정신이.. 菜根譚[完] 2014.08.20
고요한 밤 종소리 맑고 높아라.【後集 112】 고요한 밤 종소리 맑고 높아라. 【後集 112】 雨餘(우여) 비 갠 뒤에 觀山色(관산색) 산색을 보면 景象便覺新姸(경상변각신연) 경상이 문득 새로움을 느끼고 夜靜(야정) 밤이 고요하여 聽鐘聲(청종성) 종소리를 들으면 音響尤爲淸越(음향우위청월) 울림이 더욱 맑고 높다 菜根譚[完] 2014.08.20
잎이 지면 뿌리에서 싹이 돋는다.【後集 111】 잎이 지면 뿌리에서 싹이 돋는다. 【後集 111】 草木纔零落(초목재영락) 초목이 영락하였는가 싶으면 便露萌穎於根柢(변로맹영어근저) 문득 싹이 뿌리에서 돋아나오고 時序雖凝寒(시서수응한) 시절이 바뀌어 겨울일지라도 終回陽氣於飛灰(종회양기어비회) 마침내 봄 기운은 비회.. 菜根譚[完] 2014.08.20
인간 세상이 고해만은 아니다.【後集 110】 인간 세상이 고해만은 아니다. 【後集 110】 機息時(기식시) 마음을 잠 재우면 便有月到風來(변유월도풍래) 곧 달이 뜨고 바람이 부나니 不必苦海人世(불필고해인세) 이럴 대는 반드시 고해의 인생이 아니요 心遠處(심원처) 마음으로 멀리하면 自無車塵馬迹(자무차진마적) 수레 티끌 말굽.. 菜根譚[完] 2014.08.13
물방울이 떨어져 바위를 뚫는다.【後集 109】 물방울이 떨어져 바위를 뚫는다. 【後集 109】 繩鋸木斷(승거목단) 새끼도 톱 삼아 오래 쓰면 나무를 끊고 水滴石穿(수적석천) 낙수물도 오래 떨어지면 돌을 뚫는다. 學道者(학도자) 도를 배우는 이는 須加力索(수가역색) 모름지기 힘써 찾음을 더 할 것이요 水到渠成(수도거성) 물이 모이.. 菜根譚[完] 2014.08.13
조그만 생각의 차이로 화복이 갈린다.【後集 108】 조그만 생각의 차이로 화복이 갈린다. 【後集 108】 人生福境禍區(인생복경화구) 인생의 복과 재앙은 皆念想造成(개념상조성) 모두 마음에서 이루어진다. 故釋氏云(고석씨운) 그러므로 불교에서 이르기를 利欲熾然(이욕치연) 이욕이 불같이 타오르면 卽是火坑(즉시화갱) 그것이 곧 불구.. 菜根譚[完] 2014.08.13
자연스럽게 살면 자연과 하나가 된다.【後集 107】 자연스럽게 살면 자연과 하나가 된다. 【後集 107】 興逐時來(흥축시래) 흥취가 때로 일어나서 芳草中(방초중) 맨발로 풀속을 撤履間行(철리간행) 거니노라면 野鳥(야조) 새도 忘機時作伴(망기시작반) 겁내지 않고 와서 벗이 되고 景與心會(경여심회) 경치가 마음에 맞아 옷깃을 헤치고 落.. 菜根譚[完] 2014.08.05
산에 살면 가슴이 맑고 깨끗하다【後集 106】 산에 살면 가슴이 맑고 깨끗하다 【後集 106】 山居(산거) 산 속에 살면 胸次淸洒(흉차청쇄) 가슴이 맑고 깨끗하여 觸物皆有佳思(촉물개유가사) 보는 것 듣는 것이 모두 재미가 있나니 見孤雲野鶴(견고운야학) 구름과 학을 보면 而起超絶之思(이기초절지사) 초절한 생각이 생기고 遇石.. 菜根譚[完] 2014.08.05
시끄러움 속에서 고요함을 찾아라【後集 105】 시끄러움 속에서 고요함을 찾아라 【後集 105】 喜寂厭喧者(희적염훤자) 고요함을 좋아하고 시끄러움을 싫어하는 이는 往往避人以求靜(왕왕피인이구정) 흔히 사람을 피하여 공함을 구하니 不知意在無人(부지의재무인) 뜻이 사람 없음에 있다면 便成我相(변성아상) 곧 자아에 사로잡힘이.. 菜根譚[完] 2014.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