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그릇은 더디 이루어진다 (노자 하편 제41장) 큰그릇은 더디 이루어진다 (노자 하편 제41장) 上士聞道(상사문도) 뛰어난 사람은 도에 대해 들으면 勤而行之(근이행지) 힘써 행하려 하고 中士聞道(중사문도) 어중간한 사람은 도에 대해 들으면 若存若亡(약존약망) 이런가 저런가 망설이고 下士聞道(하사문도) 못난 사람은 도에 대해 들.. 道德經[完] 2012.05.18
되돌아오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노자 하편 제40장) 되돌아오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노자 하편 제40장) 反者道之動(반자도지동) 근본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고 弱者道之用(약자도지용) 부드럽고 약한 것이 도의 작용이다. 天下萬物生於有(천하만물생어유) 세상의 만물은 천지음양의 기운인 유에서 나오고 有生於無(유생어.. 道德經[完] 2012.05.18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노자 하편 제39장)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노자 하편 제39장) 昔之得一者(석지득일자) 예부터 <하나>를 얻은 것들이 있다 天得一以淸(천득일이청) 하늘은 하나를 얻어 맑고 地得一以寧(지득일이녕) 땅은 하나를 얻어 편안하고 神得一以靈(신득일이령) 신은 하나를 얻어 영묘하고 谷得一.. 道德經[完] 2012.05.18
무위자연의 도덕은 인위적인 도덕이 아니다 (노자 하편 제38장) 무위자연의 도덕은 인위적인 도덕이 아니다 (노자 하편 제38장) 上德不德(상덕불덕) 훌륭한 덕의 사람은 자기의 덕을 의식하지 않는다 是以有德(시이유덕) 그러기에 정말로 덕이 있는 사람이다 下德不失德(하덕불실덕) 훌륭하지 못한 덕의 사람은 자기의 덕을 의식한다 是以無德(시이무.. 道德經[完] 2012.05.18
욕심없이 고요하면 천하는 저절로 바르게 된다 (노자 상편 제37장) 욕심없이 고요하면 천하는 저절로 바르게 된다 (노자 상편 제37장) 道常無爲而無不爲(도상무위이무불위) 도는 언제든지 억지로 일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안 된 것이 없다 侯王若能守之(후왕약능수지) 임금이나 제후가 이를 지키면 萬物將自化(만물장자화) 온갖 것 저절로 달라집니다 化.. 道德經[完] 2012.05.17
뺏으려면 먼저 주어라 (노자 상편 제36장) 뺏으려면 먼저 주어라 (노자 상편 제36장) 將欲歙之(장욕흡지) 오므리려면 必固張之(필고장지) 일단 펴야 한다 將欲弱之(장욕약지) 약하게 하려면 必固强之(필고강지) 일단 강하게 해야 한다 將欲廢之(장욕폐지) 폐하게 하려면 必固興之(필고흥지) 일단 흥하게 해야 한다 將欲奪之(장.. 道德經[完] 2012.05.17
진리는 평범하다 (노자 상편 제35장) 진리는 평범하다 (노자 상편 제35장) 執大象, (집대상,) 도를 지켜 살아가면 天下往, (천하왕,) 세상 어디를 가도 往而不害, (왕이불해,) 방해하는 것이 없어 安平太. (안평태.) 항상 마음이 편안하고 화평하고 태평하다 樂與餌, 낙여이, 즐거운 음악과 좋은 음식이 있는 곳에서는 過客止, 과.. 道德經[完] 2012.05.17
스스로 크다고 생각하지 않으므로 크게 된다 (노자 상편 제34장) 스스로 크다고 생각하지 않으므로 크게 된다 (노자 상편 제34장) 大道氾兮, (대도범혜,) 큰 도는 넉넉하여 한 곳에 못 박혀 있지 않아 其可左右. (기가좌우.) 좌우로 없는 곳 없이 자유자재 한다 萬物恃之而生而不辭, (만물시지이생이불사,) 만물은 이 도에 의해 생겨나지만 한 마디 자랑도 .. 道德經[完] 2012.05.17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참으로 강한 사람이다 (노자 상편 제33장)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참으로 강한 사람이다 (노자 상편 제33장) 知人者智, (지인자지,) 다른 사람을 아는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이고 自知者明. (자지자명.) 스스로를 아는 사람은 밝은 사람이다. 勝人者有力, (승인자유력,) 남을 이기는 사람은 힘있는 사람이고 自勝者强. (자승자강.) 스스.. 道德經[完] 2012.05.16
도는 손대지 않은 통나무와 같다 (노자 상편 제32장) 도는 손대지 않은 통나무와 같다 (노자 상편 제32장) 道常無名(도상무명) <도>는 영원한 실재 이름 붙일 수 없는 무엇인데 樸雖小(박수소) 다듬지 않은 통나무처럼 비록 보잘것없어 보이지만 天下莫能臣也(천하막능신야) 이를 다스릴 자 세상에 없다 侯王若能守之(후왕약능수지) 임금.. 道德經[完] 2012.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