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아지랑이 같지만 뚜렷하다 (노자 상편 제21장) 도는 아지랑이 같지만 뚜렷하다 (노자 상편 제21장) 孔德之容(공덕지용) 위대한 덕의 모습은 惟道是從(유도시종) 오로지 도를 따르는 데서 나온다 道之爲物(도지위물) 도라고 하는 것은 惟恍惟惚(유황유홀) 황홀할 뿐이다 惚兮恍兮(홀혜황혜) 황홀하기 그지없지만 其中有象(기중유상) 그 .. 道德經[完] 2012.05.04
배움을 끊으면 근심이 없다 (노자 상편 제20장) 배움을 끊으면 근심이 없다 (노자 상편 제20장) 絶學無憂(절학무우) 배우는 일을 그만두면 근심이 없어질 것이다 唯之與阿(유지여아) <예>라는 대답과 <응>이라는 대답의 相去幾何(상거기하) 차이가 얼마이겠는가 善之與惡(선지여악) 선하다는 것과 악하다는 것의 相去若何(상거.. 道德經[完] 2012.04.30
순박한 마음으로 욕망을 버려라 (노자 상편 제19장) 순박한 마음으로 욕망을 버려라 (노자 상편 제19장) 絶聖棄智 (절성기지) 성스런 체함을 그만두고 아는 체함을 버리면 民利百倍 (민리백배) 사람에게 이로움이 백 배나 더할 것이다 絶仁棄義 (절인기의) 인을 그만두고 의를 버리면 民復孝慈 (민복효자) 사람이 효성과 자애를 회복할 것이.. 道德經[完] 2012.04.30
지혜가 있으므로 속임이 있게 되었다 (노자 상편 제18장) 지혜가 있으므로 속임이 있게 되었다 (노자 상편 제18장) 大道廢 (대도폐) 대도가 폐하면 有仁義 (유인의) 인이니 의니 하는 것이 나서고 慧智出 (혜지출) 지략이니 지모니 하는 것이 설치면 有大僞 (유대위) 엄청안 위선이 만연하게 된다 六親不和 (륙친불화) 가족 관계가 조화롭지 못하면 .. 道德經[完] 2012.04.30
최상의 다스림은 존재만을 알게 하는 것이다 (노자 상편 제17장) 최상의 다스림은 존재만을 알게 하는 것이다 (노자 상편 제17장) 太上不知有之 (태상부지유지) 가장 훌륭한 지도자는 사람들에게 그 존재 정도만 알려진 지도자 其次親而譽之 (기차친이예지) 그 다음은 사람들이 가까이하고 칭찬하는 지도자 其次畏之 (기차외지) 그 다음은 사람들이 두려.. 道德經[完] 2012.04.30
자신 본래의 참모습으로 돌아가라 (노자 상편 제16장) 자신 본래의 참모습으로 돌아가라 (노자 상편 제16장) 致虛極(치허극) 완전한 비움에 이르게 하고 守靜篤(수정독) 참된 고요함을 지키라 萬物竝作(만물병작) 온갖 것 어울려 생겨날 때 吾以觀復(오이관복) 나는 그들의 되돌아감을 눈여겨 본다 夫物芸芸(부물운운) 온갖 것 무성하게 뻗어 .. 道德經[完] 2012.04.30
참된 사람은 가득 채우려 하지 않는다 (노자 상편 제15장) 참된 사람은 가득 채우려 하지 않는다 (노자 상편 제15장) 古之善爲士者 (고지선위사자) 도를 체득한 훌륭한 옛사람은 微妙玄通 (미묘현통) 미묘현통하여 深不可識 (심불가식) 그 깊이를 알 수 없다 夫唯不可識 (부유불가식) 그 깊이를 알 수 없으니 故强爲之容 (고강위지용) 드러난 모습을.. 道德經[完] 2012.04.27
도는 보고 듣고 만질 수 없는 것이다 (노자 상편 제14장) 도는 보고 듣고 만질 수 없는 것이다 (노자 상편 제14장) 視之不見 (시지불견) 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을 名曰夷 (명왈이) 이름하여 <이>라 하여 보자 聽之不聞 (청지불문) 들어도 들리지 않는 것을 名曰希 (명왈희) 이름하여 <희>라 하여 보자 搏之不得 (박지불득) 잡아도 잡히지 않.. 道德經[完] 2012.04.27
괴로움이 다 하면 즐거움이 온다 (노자 상편 제13장) 괴로움이 다 하면 즐거움이 온다 (노자 상편 제13장) 寵辱若驚 (총욕약경) 수모를 신기한 것처럼 좋아하고 貴大患若身 (귀대환약신) 고난을 내 몸처럼 귀하게 여기십시오. 何謂寵辱若驚 (하위총욕약경) 수모를 신기한 것처럼 좋아한다 함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인가 寵爲下 (총위하) 낮아.. 道德經[完] 2012.04.27
배를 채울 뿐 겉치레는 하지 않는다 (노자 상편 제12장) 배를 채울 뿐 겉치레는 하지 않는다 (노자 상편 제12장) 五色令人目盲 (오색령인목맹) 다섯 가지 색깔로 사람의 눈이 멀게 되고 五音令人耳聾 (오음령인이롱) 다섯 가지 음으로 사람의 귀가 멀게 되고 五味令人口爽 (오미령인구상) 다섯 가지 맛으로 사람의 입맛이 고약해진다 馳騁畋獵.. 道德經[完] 2012.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