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5.公冶長編 20.지나치게 생각하면 우유부단해진다. 論語 5.公冶長編 20.지나치게 생각하면 우유부단해진다. 季文子(계문자) 三思而後(삼사이후)에 行(행)하더니 계문자는 무슨 일을 하던 세 번을 생각하고 난후에 실천을 하니, 子聞之(자문지)하시고 曰(왈) 再斯可矣(재사가의)니라 공자께서 그 말을 들으시고 두 번이면 된다. 고 하셨다. 계.. 논어(論語)[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19.충성과 청백 論語 5.公冶長編 19.충성과 청백 子張(자장)이 問曰,(문왈,) 자장이 묻기를, 令尹子文(영윤자문)이 三仕爲令尹(삼사위영윤)하되 초나라 자문이 세 번이나 영윤의 직에 올랐어도 無喜色(무희색)하며 三已之(삼이지)하되 無溫色(무온색)하여 기쁜 기색이 없으며 세 번 파면을 당하되 노여워하.. 논어(論語)[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18.장문중은 지자가 아니다. 論語 5.公冶長編 18.장문중은 지자가 아니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臧文仲(장문중) 居蔡(거채)하되 장문중이 자기 집에다 큰 거북을 두고 山節(산절)하며 藻梲(조탈)하니 기둥 끝에 산을 새기고 대들보에 무늬를 그렸으니, 何如其知也(하여기지야)리오 어찌 그를 지혜롭다.. 논어(論語)[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17.안평중(晏平仲)의 교우(交友) 論語 5.公冶長編 17.안평중(晏平仲)의 교우(交友)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晏平仲(안평중)은 善與人交. (선여인교.)로다 안평중은 사람을 잘 사귀었다. 久而敬之(구이경지)은여 오래되어도 남을 잘 공경했다. 논어(論語)[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16.자산이 가진 군자의 네 가지 도(道) 論語 5.公冶長編 16.자산이 가진 군자의 네 가지 도(道) 子謂子産(자위자산)하시되 공자께서 자산을 평해 이르시길 有君子之道四焉(유군자지도사언)이니 그가 지닌 바 군자의 도가 넷이 있으니, 其行己也恭(기행기야공)하며 몸가짐을 공손히 하였고 其事上也敬(기사상야경)하며 윗사람 섬.. 논어(論語)[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15.공문자는 아래 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論語 5.公冶長編 15.공문자는 아래 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子貢問曰,(자공문왈) 孔文子(공문자)를 何以謂之文也(하이위지문야)니이까? 자공이 묻기를, 공문자에게 어찌 문이라고 시호를 붙였습니까? 子曰,(자왈) 공자 말씀하시길, 敏而好學(민이호학)하며 재질이 명민한데.. 논어(論語)[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14.자로는 들으면 곧 행하였다. 論語 5.公冶長編 14.자로는 들으면 곧 행하였다. 子路(자로)는 有聞(유문)이오 자로는 가르침을 듣고, 未之能行(미지능행)하여서 그것을 미처 실천하지 못했으면, 惟恐有聞(유공유문)하더라. 또 다른 가르침 듣기를 두려워했다. 논어(論語)[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13.공자는 인성과 천도에 대한 말이 적었다. 論語 5.公冶長編 13.공자는 인성과 천도에 대한 말이 적었다. 子貢曰,(자공왈,) 자공이 말했다. 夫子之文章(부자지문장)은 可得而聞也(가득이문야)어니와 선생님의 학문에 관한 말씀은 누구나 들을 수가 있으나, 夫子之言性與天道(부자지언성여천도)는 不可得而聞也(불가득이문야)니라 인.. 논어(論語)[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12.자공의 염원 論語 5.公冶長編 12.자공의 염원 子貢曰,(자공왈) 자공이 말했다. 我不欲人之加諸我也(아불욕인지가제아야)하고 저는 남이 저에게 해를 가하는 것도 원치 않고, 吾亦欲無加諸人(오역욕무가제인)하나이다. 저 또한 남에게 해를 가함이 없고자 합니다.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賜也(.. 논어(論語)[完] 2012.11.16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자신의 능력을 자랑하지 말라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자신의 능력을 자랑하지 말라 - 韓非子 第8篇 揚權[1]- 天有大命,(천유대명) 人有大命.(인유대명) 하늘에는 자연의 큰 법칙이 있고, 인간에는 그에 따른 법칙이 있다. 夫香美脆味,(부향미취미) 厚酒肥肉,(후주비육) 甘口而病形(감구이병형) 향기가 .. 한비자 2012.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