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5.公冶長編 8.제자들의 자질 論語 5.公冶長編 8.제자들의 자질 孟武伯(맹무백)이 問,(문,) 子路(자로)는 仁乎(인호)이꼬. 맹무백이 자로는 인덕이 있습니까 묻자, 子曰,(자왈,) 不知也(부지야)로다. 공자는 잘 모르겠소. 又問(우문)한대 맹무백이 거듭 묻자, 子曰,(자왈,) 답하시길, 由也(유야)는 千乘之國(천승지국)에 可.. 논어(論語)[完] 2012.11.15
論語 5.公冶長編 7.용기와 의리 論語 5.公冶長編 7.용기와 의리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道不行(도불행)이라 乘桴(승부)하야 浮于海(부우해)하리니 도가 실현되어 지지 않으니, 나는 작은 뗏목을 타고 바다에 떠있고 싶다. 從我者(종아자)는 其由與(기유여)인저. 이럴 때 나를 따를 자는 由일 것이다. 子路(.. 논어(論語)[完] 2012.11.15
韓非子한비자 第7篇제7편 2병二柄 : 본심을 드러내지 마라 韓非子한비자 第7篇제7편 2병二柄 : 본심을 드러내지 마라 - 韓非子 第7篇 二柄[3]- 人主有二患:(인주유이환) 군주에게는 두 가지 근심이 있다. 任賢,(임현) 則臣將乘於賢以劫其君(즉신장승어현이겁기군) 현명한 자를 등용하면 현명함을 이용하여 임금을 위협할 것이다. 妄擧,(망거) .. 한비자 2012.11.14
韓非子한비자 第7篇제7편 2병二柄 : 말에 책임지게 하고 월권을 금하라 韓非子한비자 第7篇제7편 2병二柄 : 말에 책임지게 하고 월권을 금하라 - 韓非子 第7篇 二柄[2]- 人主將欲禁姦, (인주장욕금간) 군주가 신하의 간교하고 악독한 행위를 억제하려면 則審合(즉심합) 刑名者, (형명자) 진언과 성과가 일치하는가를 살펴야 한다. 言與事也.(언여사야) 爲人.. 한비자 2012.11.14
韓非子한비자 第7篇제7편 이병二柄 : 상벌의 권한을 빌려주어서는 안 된다. 韓非子한비자 第7篇제7편 이병二柄 : 상벌의 권한을 빌려주어서는 안 된다. - 韓非子 第7篇 二柄[1]- 明主之所導制其臣者,(명군지소도제기신자) 二柄而已矣.(이병이이의) 현명한 군주가 그 신하를 지도하고 제어하는 방법에는 두개의 자루뿐이다. 二柄者,(이병자) 刑德也.(형덕야) 何.. 한비자 2012.11.14
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법과 형벌은 공평하고 엄격해야 한다. 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법과 형벌은 공평하고 엄격해야 한다. - 韓非子 第6篇 有度[5]- 故以法治國,(고이법치국) 擧措而已矣.(거조이이의) 법률에 의해서 국가를 통치한다는 것은 법률이 인정하는 것만을 행하게 하고, 法不阿貴,(법불아귀) 繩不撓曲.(승불요곡) 법은 귀.. 한비자 2012.11.12
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법으로 상벌을 판단해야 한다. 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법으로 상벌을 판단해야 한다. - 韓非子 第6篇 有度[4]- 夫爲人主而身察百官, (부위인주이신찰백관) 군주가 백관을 관찰하는 데는 則日不足,(즉일부족) 力不給.(역불급) 시간이 부족하고 그러할 능력도 없다. 且上用目,(차상용목) 則下飾觀 (즉하.. 한비자 2012.11.12
論語 5.公冶長編 6.칠조개의 마음가짐 論語 5.公冶長編 6.칠조개의 마음가짐 子使漆彫開仕(자사칠조개사)러시니 공자께서 칠조개에게 벼슬을 시키려 하자, 對曰,(대왈,) 吾斯之未能信(오사지미능신)이로다. 저는 아직 벼슬을 감당할 능력이 없습니다. 라고 답했다. 子說(자열)하시다. 이에 공자가 기뻐했다. 논어(論語)[完] 2012.11.08
論語 5.公冶長編 5.인덕과 말재주 論語 5.公冶長編 5.인덕과 말재주 或曰,(혹왈)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雍也(옹야)는 仁而不佞(인이불녕)이로다. 옹은 어질기는 하나 말재주가 없는 것 같습니다. 子曰,(자왈,) 焉用佞(언용녕)이리오. 공자가 말하기를 말재주가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이요. 禦人以口給(어인이구급)하여 .. 논어(論語)[完] 2012.11.08
論語 5.公冶長編 4.자공은 호련이다. 論語 5.公冶長編 4.자공은 호련이다. 子貢問曰(자공문왈) 자공이 물었다. 賜也(사야)는 何如(하여)니이까 저는 어떻습니까?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女(여)는 器也(기야)니라 너는 그릇이다. 曰 何器也 (왈 하기야)니이까 자공이 물었다. 어떤 그릇입니까? 曰 瑚璉也(왈 호련야)니라.. 논어(論語)[完] 2012.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