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正己編 2 남의 선악을 보며 나의 선악을 보라 明心寶鑑 正己編 2 남의 선악을 보며 나의 선악을 보라 景行錄(경행록)에 云(운), 《경행록》에 이르기를, 大丈夫(대장부)는 當容人(당용인)이언정 대장부는 마땅히 남을 용서할지언정 無爲人所容(무위인소용)이니라. 남에게서 용서를 받아서는 안 된다. [영 역] a true gentleman will justly forgiv.. 明心寶鑑[完] 2012.11.16
明心寶鑑 正己編 1 남의 용서를 받는 자가 되지 마라. 明心寶鑑 正己編 1 남의 용서를 받는 자가 되지 마라. 性理書(성리서)에 云(운), 《성리서》에 이르기를, 見人之善而尋己之善(견인지선이심기지선)하고 다른 사람의 착함을 보고 자신의 착함을 찾고, 見人之惡而尋己之惡(견인지악이심기지악)이니 다른 사람의 악함을 보고 자신의 악함을.. 明心寶鑑[完] 2012.11.16
明心寶鑑 孝行編 6 처마 끝의 낙숫물 明心寶鑑 孝行編 6 처마 끝의 낙숫물 孝順(효순)은 還生孝順子(환생효순자)요 부모에게 효하고 순종하는 사람은 또한 효하고 순종하는 자식을 낳을 것이며 逆(오역)은 還生逆子(환생오역자)하나니 패륜아는 또한 패륜아 자식을 낳을 것이니, 不信(불신)커든 但看頭水(단간첨두수)하라. 이.. 明心寶鑑[完] 2012.11.16
明心寶鑑 孝行編 5 효도를 하면 효가 네게 온다. 明心寶鑑 孝行編 5 효도를 하면 효가 네게 온다. 太公曰(태공왈), 태공이 말하기를, 孝於親(효어친)이면 내가 부모에게 효를 하면 子亦孝之(자역효지)하나니 내 자식이 또한 내게 효하기 마련이다. 身旣不孝(신기불효)면 내가 부모에게 효를 하지 않았는데 子何孝焉(자하효언)이리오. 자식.. 明心寶鑑[完] 2012.11.16
지조를 지키되 엄격함을 드러내지 마라【前集 098】 지조를 지키되 엄격함을 드러내지 마라 【前集 098】 澹泊之士 (담박지사) 마음이 청렴결백한 사람은 必爲濃艶者所疑. (필위농염자소의.) 반드시 사치한 자의 의심을 받고 檢飭之人(검칙지인) 엄격한 사람은 흔히 多爲放肆者所忌. (다위방사자소기.) 방종한 자의 미움을 받기 마련이다. 君.. 菜根譚[完] 2012.11.15
내 마음이 너그러우면 세상이 온화해 진다【前集 097】 내 마음이 너그러우면 세상이 온화해 진다 【前集 097】 此心常看得圓滿, (차심상간득원만,) 내 마음을 살펴 항상 원만하게 한다면 天下自無缺陷之世界. (천하자무결함지세계.) 세상은 한 점 결함이 없는 세계가 될 것이며 此心常放得寬平, (차심상방득관평,) 내 마음을 열어 놓아 항상 너.. 菜根譚[完] 2012.11.15
훈계는 따스함으로 하라【前集 096】 훈계는 따스함으로 하라 【前集 096】 家人有過, (가인유과,) 가족에게 잘못이 있으면 不宜暴怒,(불의폭로,) 不宜輕棄. (불의경기.) 크게 화내지도 가볍게 보아 넘기지도 말라. 此事難言, (차사난언,) 잘못을 깨우쳐주기 어렵다면 借他事隱諷之. (차타사은풍지.) 다른 일을 빌어 비유로서 깨.. 菜根譚[完] 2012.11.15
論語 5.公冶長編 11.욕심이 없어야 강직하다. 論語 5.公冶長編 11.욕심이 없어야 강직하다. 子曰,(자왈) 吾未見剛者(오미견강자)로다. 공자 말씀하시길, 나는 아직 강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 或對曰,(혹대왈) 申棖(신정)이니이다. 어떤 사람이 대답했다. 신정이 있습니다. 子曰,(자왈) 棖也(정야)는 慾(욕)이어니 焉得剛(언득강)이.. 논어(論語)[完] 2012.11.15
論語 5.公冶長編 10.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다. 論語 5.公冶長編 10.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다. 宰予(재여) 晝寢(주침)이어늘 子曰,(자왈,) 재여가 낮잠을 일삼자 공자가 말씀하시길, 朽木(후목)은 不可雕也(불가조야)며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고 糞土之牆(분토지장)은 不可杇也(불가오야)니 썩은 흙으로 쌓은 담은 흙손질을 하지 .. 논어(論語)[完] 2012.11.15
論語 5.公冶長編 9.안회와 자공 論語 5.公冶長編 9.안회와 자공 子謂子貢曰(자위자공왈) 女與回也孰愈(여여회야숙유)오. 공자가 자공에게 너와 안회는 누가 더 나으냐. 고 묻자, 對曰(대왈) 賜也(사야)는 何敢望回(하감망회)리이꼬. 제가 어찌 감히 안회를 넘볼 수 있습니까? 回也(회야)는 聞一以知十(문일이지십)하고 안.. 논어(論語)[完] 2012.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