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15.衛靈公編 29.참다운 잘못 論語 15.衛靈公編 29.참다운 잘못 子曰(자왈) 공자 말씀하시기를, 過而不改(과이불개)가 是謂過矣(시위과의)니라 “허물이 있는 것을 고치지 않으면 이것이 허물인 것이다.”고 하셨다. 논어(論語)[完] 2016.03.16
論語 15.衛靈公編 28.사람과 도는 떨어질 수 없다. 論語 15.衛靈公編 28.사람과 도는 떨어질 수 없다. 子曰(자왈) 공자 말씀하시기를, 人能弘道(인능홍도)요 “사람이 능히 도를 넓히는 것이지 非道弘人(비도홍인)이니라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은 아니다.”고 하셨다. 논어(論語)[完] 2016.03.16
論語 12.顔淵編 2.인(仁)은 남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다. 論語 12.顔淵編 2.인(仁)은 남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다. 仲弓問仁(중궁문인)한대 중궁이 인을 물으니, 子曰出門如見大賓(자왈출문여견대빈)하고 공자 말씀하시기를, “문에 나가서는 큰 손님을 뵙는 것같이 하며, 使民如承大祭(사민여승대제)하며 백성을 부리기를 큰 제사를 잇는 것같이 .. 논어(論語)[完] 2016.02.20
論語 12.顔淵編 1.인(仁)은 나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論語 12.顔淵編 1.인(仁)은 나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顔淵問仁(안연문인)한대 안연이 인을 물으니, 子曰克己復禮爲仁(자왈극기복례위인)이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몸을 이기고 예에 돌아가는 것이 인을 행하는 것이니, 一日克己復禮(일일극기복례)면 하루 몸을 이겨서 예에 돌아가.. 논어(論語)[完] 2016.02.20
論語 11.先進編 24.나는 말 잘하는 사람을 미워한다. 論語 11.先進編 24.나는 말 잘하는 사람을 미워한다. 子路使子羔爲費宰(자로사자고위비재)한 대 자로가 자고로 하여금, “비 땅의 원을 삼았더니, 子曰賊夫人之子(자왈적부인지자)로다 공자 말씀하시기를, “사람의 자식을 해치는 것이다.”고 하셨다. 子路曰有民人焉(자로왈유민인언)하.. 논어(論語)[完] 2016.02.19
論語 11.先進編 23.계자연의 어리석은 질문 論語 11.先進編 23.계자연의 어리석은 질문 季子然(계자연)이 계자연이 問仲由冉求(문중유염구)는 묻기를, “중유와 염구는 可謂大臣與(가위대신여)잇가 대신이라고 이르겠습니까?”고 하니 子曰吾以子爲異之問(자왈오이자위이지문)이러니 공자 말씀하시기를, “내가 자네는 별다른 .. 논어(論語)[完] 2016.02.19
<제3장> 중용은 지극한 것이다. <제3장> 중용은 지극한 것이다. 子曰中庸(자왈중용)은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중용은 其至矣乎(기지의호)인저 그 지극한 것이구나 民鮮能(민선능)이 백성들에 능한 이가 드뭄이 久矣(구의)니라 오래되었구나. 중용(中庸)[完] 2015.08.05
<제2장> 군자는 중용하고 소인은 중용에 반한다. <제2장> 군자는 중용하고 소인은 중용에 반한다. 仲尼曰君子(중니왈군자)는 중니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자는 中庸(중용)이요 중용이요 小人(소인)은 소인은 反中庸(반중용)이니라 중용에 맞선다. 君子之中庸也(군자지중용야)는 군자의 중용은 君子而時中(군자이시중)이요 군자로서 때.. 중용(中庸)[完] 2015.08.05
<제1장> 하늘이 내린 명을 품성이라 한다. <제1장> 하늘이 내린 명을 품성이라 한다. 天命之謂性(천명지위성)이요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 하고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요 성에 따름을 <도>라 하고 修道之謂敎(수도지위교)니라 <도>를 닦는 것을 <교>라고 한다. 道也者(도야자)는 <도>라고 하는 것은 不.. 중용(中庸)[完] 2015.08.05
중용이란? 中庸 子思 ​ 중용은 본래 예기의 한 챕터에 불과했다. 실제로 예기 원본을 보면 글자 한자 틀리지 않고 중용 전편이 고스란히 들어있다. 예기 전체 49편 중 제31편이 바로 중용이다. 예기의 한편에 불과했던 중용이 유학의 핵심 과목으로 등장하게 된 것은 주자의 덕이다. 송나라 주자.. 중용(中庸)[完] 2015.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