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4.里仁編 24.말은 느리게 행동은 민첩하게 論語 4.里仁編 24.말은 느리게 행동은 민첩하게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欲訥於言(군자욕눌이언) 而敏於行(이민어행)이니라 "군자는 말을 느리게 하나 행동은 민첩하다." 논어(論語)[完] 2012.11.07
論語 4.里仁編 23.절제하면 실수하는 일이 적다. 論語 4.里仁編 23.절제하면 실수하는 일이 적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以約失之者(이약실지자)는 鮮矣(선의)니라 "절제를 하면 실수 하는 것이 적다." 논어(論語)[完] 2012.11.07
論語 4.里仁編 22.말보다 실천이 앞서야 한다. 論語 4.里仁編 22.말보다 실천이 앞서야 한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古者(고자) 言之不出(언지불출) 은 "옛날 사람들이 말을 함부로 하지 않은 것은 恥躬之不逮也(치궁지불태야)니라 몸소 실천하지 못할 경우를 부끄러워했기 때문이다." 논어(論語)[完] 2012.11.07
論語 4.里仁編 21.부모님의 나이를 몰라서는 안 된다. 論語 4.里仁編 21.부모님의 나이를 몰라서는 안 된다. 子曰(자왈) 광자께서 말씀하셨다. 父母之年(부모지년)은 不可不知也 (불가부지야)니 "부모님의 나이를 몰라서는 안 된다. 一則以喜(일즉이희)요 一則以懼(일즉이구)니라 한편으로 기쁘며 한편으로 두렵기 때문이다." 논어(論語)[完] 2012.11.07
論語 4.里仁編 20.3년 동안은 선친의 도를 고치지 않는다. 論語 4.里仁編 20.3년 동안은 선친의 도를 고치지 않는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三年(삼년) 無改於父之道 (무게어부지도)라야 " 3년 동안을 아버지의 도를 고치지 말아야 可謂孝矣(가위효의)니라 효성스럽다 할 수 있다." 논어(論語)[完] 2012.11.07
論語 4.里仁編 19.부모 생존 시는 멀리 떠나지 않는다. 論語 4.里仁編 19.부모 생존 시는 멀리 떠나지 않는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父母在(부모재)어시던 不遠遊(불원유)하며 부모가 계시면 먼 곳에 가지 않으며, 遊必有方(유필유방)이니라 부득이 갈 경우에는 반드시 행방을 알려야 한다." 논어(論語)[完] 2012.11.07
論語 4.里仁編 18.부모님 섬기는 태도 論語 4.里仁編 18.부모님 섬기는 태도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事父母(사부모)하되 幾諫(기간)이니 부모를 섬기되 슬며서 간해야 하며 見志不從(견지부종)하며 又敬不違(우경불위)하며 뜻을 따르지 않음을 보면 더욱 공경해야 하며 어기지 않으며, 勞而不怨(노이불원)이니라 수고.. 논어(論語)[完] 2012.11.07
論語 4.里仁編 17.발전을 위해서는 반성하라 論語 4.里仁編 17.발전을 위해서는 반성하라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습니다. 見賢思齊焉 (견현사제언)하며 "어진 이를 보고 그와 같아질 것을 생각하고 見不賢而內自省也(견불현이내자성야)니라 어질지 못한 이를 보고 속으로 자신을 반성한다." 논어(論語)[完] 2012.11.07
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질서가 없는 나라는 쇠약해진다 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질서가 없는 나라는 쇠약해진다. - 韓非子 第6篇 有度[1]- 國無常强,(국무상강) 無常弱.(무상약) 영구히 강하고 영구히 약한 국가는 없다. 奉法者强,(봉법자강) 則國强,(즉국강) 국법을 받드는 도가 강하면 그 나라는 강하고, 奉法者弱,(봉법자약) .. 한비자 2012.11.06
한비자韓非子 제5편第5篇 주도主道 : 상벌은 명확해야 한다 한비자韓非子 제5편第5篇 주도主道 : 상벌은 명확해야 한다. - 韓非子 第5篇 主道[4]- 人主之道,(인주지도) 靜退以爲寶.(정퇴이위보) 군주의 도는 조용히 대기하는 상태를 존중한다. 不自操事而知拙與巧,(부자조사이지졸여교) 군주는 스스로 국사를 행하지 말고 신하에게 그들의 공교.. 한비자 201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