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 제5편第5篇 주도主道 : 신하에게 권력을 주어서는 안 된다. 한비자韓非子 제5편第5篇 주도主道 : 신하에게 권력을 주어서는 안 된다. - 韓非子 第5篇 主道[3]- 是故人主有五壅(시고인주유오옹) 군주에게는 다섯 가지 둘러싸여 막히는 재앙이 있다. 臣閉其主曰壅,(신폐기주왈옹) 첫째 막음은 신하가 군주의 눈과 귀를 막아 아무것도 알지 못하게.. 한비자 2012.11.02
한비자韓非子 제5편第5篇 주도主道 :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하라 한비자韓非子 제5편第5篇 주도主道 :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하라 - 韓非子 第5篇 主道[2]- 道在不可見,(도재불가견) 用在不可知(용재불가지) 도의 본바탕은 볼 수가 없고, 도의 작용은 미묘하여 알 수가 없는 것이다. 虛靜無事,(허정무사) 이 도를 터득한 군주는 허심(虛心), 정관(靜觀), .. 한비자 2012.11.02
論語 4.里仁編 16.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에 밝다. 論語 4.里仁編 16.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에 밝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군자)는 喩於義(유어의)하고 小人(소인)은 喩於利(유어리)니라 "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논어(論語)[完] 2012.11.01
論語 4.里仁編 15.일관된 도 論語 4.里仁編 15.일관된 도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參乎(삼호)아 吾道(오도)는 一以貫之(일이관지)니라 "삼아! 나의 도는 하나로 관통되어 있다." 曾子曰(증자왈) 唯 (유)라 증자는 대답하였다. "예" 子出(자출)커시늘 門人(문인)이 問曰(문왈) 공자께서 나가시자 문인들이 물었다. .. 논어(論語)[完] 2012.11.01
論語 4.里仁編 14.오직 실력을 양성하라. 論語 4.里仁編 14.오직 실력을 양성하라.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不患無位(불환무위)요 患所以立 (환소이립)하며 "지위가 없음을 근심하지 말고 입신하는 방법을 근심하며, 不患莫己知(불환막기지)요 求爲可知也(구위가지야)니라 자기를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말고 자기를 .. 논어(論語)[完] 2012.11.01
論語 4.里仁編 13.예의와 겸양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 論語 4.里仁編 13.예의와 겸양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能以禮讓 爲國乎(능이례양위국호)에 何有(하유)며 "예의 본질인 사양심을 가지고 나라를 다스릴 수 있다면 하등의 문제도 없다. 不能以禮讓 爲國(불능이례양위국)이면 如禮何(여레하)리오 예의본.. 논어(論語)[完] 2012.11.01
論語 4.里仁編 12.이익만 바라면 원망을 받는다. 論語 4.里仁編 12.이익만 바라면 원망을 받는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放於利而行(방어리이행)이면 多怨(다원)이니라 "이익에 따라서 행동하면 원한을 사는 일이 많다." 논어(論語)[完] 2012.11.01
한비자韓非子 제5편第5篇 주도主道 : 자기 속을 보여서는 안 된다 한비자韓非子 제5편第5篇 주도主道 : 자기 속을 보여서는 안 된다 - 韓非子 第5篇 主道[1]- 道者,(도자) 萬物之始,(만물지시) 是非之紀也. (시비지기야) 도라는 것은 만물이 시작하는 근원이며 시비와 선악의 기준이다. 是以明君守始以知萬物之源,(시이명군수시이지만물지원) 그리하.. 한비자 2012.11.01
한비자韓非子 제4편第4篇 애신愛臣 : 신하가 강하면 군주가 살해된다. 한비자韓非子 제4편第4篇 애신愛臣 : 신하가 강하면 군주가 살해된다. - 韓非子 第4篇 愛臣[1]- 愛臣太親,(애신태친) 必危其身 (필위기신) 총애하는 신하를 지나치게 가까이 하면 그들은 군주를 위태롭게 할 것이며, 人臣太貴,(인신태귀) 必易主位(필역주위) 또 대신의 권위가 지나치.. 한비자 2012.11.01
한비자韓非子 제3편第3篇 난언難言 : 진리의 말은 귀에 거슬린다 한비자韓非子 제3편第3篇 난언難言 : 진리의 말은 귀에 거슬린다 - 韓非子 第3篇 難言[2]- 上古有湯,(상고유탕) 至聖也: (지성야) 옛날 은나라의 탕왕은 훌륭한 성군이었고, 伊尹,(이윤) 至智也.(지지야) 이윤은 뛰어난 지자였습니다. 夫至智說至聖, (부지지설지성) 최고의 지자가 최고.. 한비자 2012.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