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10章 戰步 - 第6篇 犬韜 第10章 戰步 - 보병의 대전차전, 대기병전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步兵與車騎戰, 奈何?」(보병여거기전 내하) “보병으로 전차나 기병과 싸울 때는 어떻게 하면 좋습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步兵與車騎戰者, (보병여거.. 육도삼략[完] 2012.05.18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9章 戰騎[2] - 第6篇 犬韜 第9章 戰騎[2]- 기마전에서 불리한 상황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물었다. 「九敗, 奈何?」 (구패 내하) “패하는 아홉 가지 길이란 무엇입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凡以騎陷敵而不能破陣;(범이기함적이불능파진) “무릇 기병으로써 적진을 함락하고.. 육도삼략[完] 2012.05.18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9章 戰騎[1] - 第6篇 犬韜 第9章 戰騎[1]- 기마전에서 유리한 상황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戰騎, 奈何?」(전기 내하) “기병에 의한 전투방법은 어떻습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騎有十勝九敗.」(기유십승구패) “기병에는 이기는 열 가지 길과 .. 육도삼략[完] 2012.05.18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3] -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3]- 전차전에 유리한 지형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물었다. 「八勝之地, 奈何?」(팔승지지 내하) “승리하는 여덟 가지 지형은 어떤 것입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敵之前後, 行陣未定, (적지전후 행진미정) “적의 앞뒤나 행오나 진열이 아.. 육도삼략[完] 2012.05.18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2] -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2]- 전차전에서의 사지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물었다. 「十死之地, 奈何?」(십사지지 내하) “죽음의 열 가지 지형이란 어떠한 것입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했다. 「往而無以還者, (왕이무이원자) “나아갈 수는 있지만 돌아갈 수는 없는 지형은 車.. 육도삼략[完] 2012.05.17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1] - 第6篇 犬韜 第8章 戰車[1]- 전차전에서의 지형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알)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戰車, 奈何?」 (전거 내하) “전차에 대한 전법을 듣고 싶습니다.”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步貴知變動, (보귀지변동) “보병은 적의 행동의 변화를 알아서 그 허를.. 육도삼략[完] 2012.05.17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7章 武騎士 - 第6篇 犬韜 第7章 武騎士 - 기마병의 조건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選騎士, 奈何?」(선기사 내하) “기사를 선발하는 데는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選騎士之法:(선기사지법) “기사를 고르는 법은 取年四十以.. 육도삼략[完] 2012.05.17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6章 武車士 - 第6篇 犬韜 第6章 武車士 - 전차병의 조건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選車士, 奈何?」 (선거사 내하) “전차를 타는 무사를 선발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選車士之法: (선거사지법) “전차병을 선발하는 방.. 육도삼략[完] 2012.05.17
욕심없이 고요하면 천하는 저절로 바르게 된다 (노자 상편 제37장) 욕심없이 고요하면 천하는 저절로 바르게 된다 (노자 상편 제37장) 道常無爲而無不爲(도상무위이무불위) 도는 언제든지 억지로 일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안 된 것이 없다 侯王若能守之(후왕약능수지) 임금이나 제후가 이를 지키면 萬物將自化(만물장자화) 온갖 것 저절로 달라집니다 化.. 道德經[完] 2012.05.17
뺏으려면 먼저 주어라 (노자 상편 제36장) 뺏으려면 먼저 주어라 (노자 상편 제36장) 將欲歙之(장욕흡지) 오므리려면 必固張之(필고장지) 일단 펴야 한다 將欲弱之(장욕약지) 약하게 하려면 必固强之(필고강지) 일단 강하게 해야 한다 將欲廢之(장욕폐지) 폐하게 하려면 必固興之(필고흥지) 일단 흥하게 해야 한다 將欲奪之(장.. 道德經[完] 201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