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략, 三略, 중략, 中略[11] 이용한 후엔 권세를 빼앗는다 삼략, 三略, 중략, 中略[11] 이용한 후엔 권세를 빼앗는다 夫高鳥死,(부고조사) 하늘 높이 나는 새가 죽어버리면 良弓藏;(양궁장) 좋은 활은 쓸모가 없어져서 창고 깊숙이 갇혀 버린다. 敵國滅,(적국멸) 謀臣亡.(모신망) 적국이 멸망해 버리면 지모 있는 신하는 쓸모가 없어져 버려 망해 .. 육도삼략[完] 2012.09.12
삼략三略 중략中略[10] 삼략을 지은 뜻 삼략三略 중략中略[10] 삼략을 지은 뜻 하늘의 도는 무위로써 만물을 생육한다. 聖人體天, (성인체천) 성인은 하늘의 도를 터득하여 무위로써 천하를 다스린다. 땅의 도는 안정하며 만물을 자라게 한다. 賢人法地, (현인법지) 현인은 땅의 도를 본받아 백성을 편안하게 다스린다. 智者師.. 육도삼략[完] 2012.06.14
삼략三略 중략中略[9] 은밀한 계책이 아니면 삼략三略 중략中略[9] 은밀한 계책이 아니면 德同勢敵, (덕동세적) 덕은 모두가 마찬가지이며, 세력은 서로 필적하므로 無以相傾, (무이상경) 서로가 상대방을 뒤집어엎을 수가 없다. 乃攬英雄之心, (내람영웅지심) 그래서 영웅의 환심을 사고, 與衆同好惡, (여중동호악) 많은 사람들과 .. 육도삼략[完] 2012.06.08
삼략三略 중략中略[8] 제도는 치도를 돕는다 삼략三略 중략中略[8] 제도는 치도를 돕는다 故聖王御世, (고성왕어세) 옛적에 선왕이 천하를 통어할 때는 觀盛衰, (관성쇠) 시운에는 성쇠가 없을 수 없음을 보고, 度得失, (도득실) 인간에는 득실이 없을 수 없음을 헤아려 而爲之制. (이위지제) 때로는 군사를 일으켜 응징할 필요가 있.. 육도삼략[完] 2012.06.08
삼략三略 중략中略[7] 군주와 신하의 덕과 위엄 삼략三略 중략中略[7] 군주와 신하의 덕과 위엄 主不可以無德, (주불가이무덕) 군주는 덕이 없어서는 안 된다. 無德則臣叛;(무덕즉신반) 덕이 없게 되면 신하가 배반한다. 不可以無威, (불가이무위) 또 위엄이 없어서는 안 된다. 無威則失權. (무위즉실권) 위엄이 없게 되면 군주로서의.. 육도삼략[完] 2012.06.08
삼략三略 중략中略[6] 의로운 선비는 의로 써라 삼략三略 중략中略[6] 의로운 선비는 의로 써라 軍勢曰 (군세왈) 군세에 이런 말이 있다. 「使義士, 不以財. (사의사 불이재) 「의로운 선비를 부릴 경우에는 의로써 해야 하며, 재물로써 부릴 수는 없다. 故義者, 不爲不仁者死 (고의자 불위불인자사) 때문에 의로운 사람은 어질지 못한 .. 육도삼략[完] 2012.06.08
삼략三略 중략中略[5] 선동, 미신을 금하라 삼략三略 중략中略[5] 선동, 미신을 금하라 軍勢曰 (군세왈) 군세에 이런 말이 있다. 「無使辯士談說敵美, (무사변사화설적미) 「변설에 능한 선비로 하여금 적국의 장점을 이야기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爲其惑衆. (위기혹중) 그것은 부하 군중을 미혹하게 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無.. 육도삼략[完] 2012.06.08
삼략三略 중략中略[4] 개성을 살려 사람을 써라 삼략三略 중략中略[4] 개성을 살려 사람을 써라 軍勢曰 (군세왈) 군세에 이런 말이 있다. 「使智, 使勇, (사지 사용) 「지휘자는 지모 있는 자도 부리며, 용감한 자도 부리며, 使貪, 使愚. (사탐 사우) 탐욕한 자도 부리며, 우매한 자도 부린다. 智者樂立其功, (지자락입기공) 지모 있는 자.. 육도삼략[完] 2012.06.06
삼략三略 중략中略[3] 장수에게 재량권을 줘라 삼략三略 중략中略[3] 장수에게 재량권을 줘라 軍勢曰 (군세왈) 군세에 이런 말이 있다. 「出軍行師, (출군행사) 「군대를 출동할 때는 將在自專, (장재자전) 장수는 군사행동을 자기 재량껏 해야 한다. 進退內御, (진퇴내어) 군대의 진퇴에 관하여 조정으로부터 제재를 받아서는 則功難.. 육도삼략[完] 2012.06.06
삼략三略 중략中略[2] 왕도는 천도 삼략三略 중략中略[2] 왕도는 천도 王者, 制人之道, (왕자 제인지도) 왕이 된 자는 도로써 백성을 통제하여 降心服志, (항심복지) 그 마음을 겸손케 하고 그 뜻을 복종케 하며, 設矩備衰, (설구비쇠) 법도를 마련하여 후세의 정교의 쇠퇴할 세상에 대비하고, 四海會同, (사해회동) 천하 제.. 육도삼략[完] 2012.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