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략三略 중략中略[1] 자연의 이치를 따르라 삼략三略 중략中略[1] 자연의 이치를 따르라 夫三皇無言, (부삼황무언) 태고적 삼황시대에는 천자는 아무 말을 하지 않아도, 而化流四海, (이화류사해) 덕화가 자연스럽게 온 세상에 미치게 되었다. 故天下無所歸功. (고천하무소귀공) 그렇기 때문에 천하 사람들은 그렇게 잘 다스려지.. 육도삼략[完] 2012.06.06
삼략三略 상략上略[45] 사람을 가려 써라 삼략三略 상략上略[45] 사람을 가려 써라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姦雄相稱, (간웅상칭) 「간사한 영웅들은 서로 짜고 칭찬하여 障蔽主明;(장폐주명) 군주의 총명을 가리고, 毁譽並興, (훼예병흥) 허물과 명예가 함께 일어나 壅塞主聰;(옹색주총) 군주의 총명을 .. 육도삼략[完] 2012.05.28
삼략三略 상략上略[44] 아첨하는 자를 제거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44] 아첨하는 자를 제거하라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佞臣在上, (영신재상) 아첨할 녕 「아첨하는 신하가 위에 있게 되면, 一軍皆訟. (일군개송) 전 군사가 모두 불평을 호소한다. 引威自與, (인위자여) 그러나 그는 조정의 위세를 믿고 스스로 .. 육도삼략[完] 2012.05.28
삼략三略 상략上略[43] 신하의 권세를 제약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43] 신하의 권세를 제약하라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枝葉强大, (지엽강대) 「근본되는 군주가 약하고 가지나 잎에 해당되는 신하가 강대하며, 比周居勢, (비주거세) 신하가 도당을 짜고 세도가 당당한 관직에 있으며, 卑賤陵貴, (비천릉귀) 비천한 .. 육도삼략[完] 2012.05.28
삼략三略 상략上略[42] 선은 권하고 악은 멸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42] 선은 권하고 악은 멸하라 軍讖曰:(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善善不進, (선선부진) 「사람이 착한 것을 착한 줄은 알면서, 이를 승진시켜 중용하지 않고, 惡惡不退;(악악불퇴) 사람이 악한 것을 악한 줄은 알면서도 이를 물리치고 멀리하지 않으면, 賢.. 육도삼략[完] 2012.05.28
삼략三略 상략上略[41] 매관매직하고 분수를 모르면 삼략三略 상략上略[41] 매관매직하고 분수를 모르면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吏多民寡, (이다민과) 「나라 인구에 비해 관리가 너무 많고 백성의 숫자가 적으며, 尊卑相若, (존비상고) 존귀한 것과 천한 등급이 분명치 않고, 强弱相虜, (강약상로) 강한 자가 약한 자를 .. 육도삼략[完] 2012.05.28
삼략三略 상략上略[40] 간신을 경계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40] 간신을 경계하라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世世作姦, (세세작간) 「대대로 비행(간사한 짓)을 저지르고, 侵盜縣官, (침도현관) 천자의 권위를 침해하고 빼앗으며, (사기(史記) 강후세가(絳侯世家)에 나오는 “천자의 그릇을 훔쳐 팔았다.(盜賣縣.. 육도삼략[完] 2012.05.25
삼략三略 상략上略[39] 파벌은 망국의 근본이다 삼략三略 상략上略[39] 파벌은 망국의 근본이다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强宗聚姦, (강종취간) 「강대한 종족이 그 세력이 당당함을 믿고 간사한 사람들을 모아 나쁜 일을 하고, 無位而尊, (무위이존) 별다른 지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존대하며, 威無不震, (위.. 육도삼략[完] 2012.05.25
삼략三略 상략上略[38] 탐관오리는 난리를 부른다 삼략三略 상략上略[38] 탐관오리는 난리를 부른다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群吏朋黨, (군리붕당) 「많은 관리들이 도당을 짜고, 各進所親;(각진소친) 각자가 자기가 친애하는 무리를 승진시키며, 招擧姦枉, (초거간왕) 간사하고 곧지 못한 자를 불러서 추천하고, 抑.. 육도삼략[完] 2012.05.25
삼략三略 상략上略[37] 부정부패는 도적을 부른다 삼략三略 상략上略[37] 부정부패는 도적을 부른다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內貪外廉, (내탐외렴) 탐할 탐 「속으로는 탐욕스러우면서도 겉으로는 청렴결백한 체하며, 詐譽取名, (사예취명) 거짓말을 하여 공이 없는데도 명예를 얻고, 竊公爲恩, (절공위은) 훔칠 절 조.. 육도삼략[完] 2012.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