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五 克己 41. 어릴 때부터 쇄소응대를 가르쳐라 卷五 克己 41. 어릴 때부터 쇄소응대를 가르쳐라 世學不講(세학불강) 男女從幼(남녀종유) 오늘날의 세상은 <소학>을 가르치지 않아서, 남녀가 어려서 부터, 便驕惰壞了(편교타괴료) 교만해 지고 게으른 데 빠져 나빠졌으니, 到長(도장) 益凶狼(익흉랑) 자라게 되면, 사납고 불손해 지는 .. 近思錄 2016.10.05
卷五 克己 40. 시점(視點)을 허리띠 중앙에 두라 卷五 克己 40. 시점(視點)을 허리띠 중앙에 두라 君子不必避他人之言(군자불필피타인지언) 군자는 타인의 비평을 반드시 피하지 않으며, 以爲太柔太弱(이위태유태약) 이로써 지나치게 유약해지지 않는다. 至於瞻視(지어첨시) 亦有節(역유절) 쳐다보는 일에 이르기 까지, 또한 절도가 있는 .. 近思錄 2016.10.05
卷五 克己 39. 배우는 자는 욕심을 적게 하라 卷五 克己 39. 배우는 자는 욕심을 적게 하라 仁之難成久矣(인지난성구의) 오래도록 인(仁)을 이루기 어려워서, 人人失其所好(인인실기소호) 사람들은 그 좋아하는 바를 잃게 되었다. 盖人人有利欲之心(개인인유리욕지심) 대개 사람들은 이욕(利欲)에만 마음이 있어서, 與學正相背馳(여학.. 近思錄 2016.10.05
卷五 克己 38. 경솔한 것을 고치고 게으른 것을 경계하라 卷五 克己 38. 경솔한 것을 고치고 게으른 것을 경계하라 矯輕警惰(교경경타) 경솔한 것을 고치고 게으른 것을 경계해야 한다. <횡거어록(橫渠語錄)> 경솔한 행동과 게으름은 학문을 하는데 커다란 병폐가 되는 것이니, 이를 경계한 말이다. 近思錄 2016.10.05
卷五 克己 37. 친구로부터 얻는 유익함 卷五 克己 37. 친구로부터 얻는 유익함 有潛心於道(유잠심어도) 잠심(潛心)하여 도(道)를 구하는 마음이 있을 때, 忽忽爲他慮引去者(홀홀위타려인거자) 此氣也(차기야) 홀연히 다른 생각에 이끌리게 되는 것, 이것은 기(氣) 때문이다. 舊習纏繞(구습전요) 未能脫洒(미능탈쇄) 畢竟無益(.. 近思錄 2016.10.05
卷五 克己 36. 자신을 책망하는 자 卷五 克己 36. 자신을 책망하는 자 責己者(책기자) 자신을 책망하는 자는, 當知無天下國家皆非之理(당지무천하국가개비지리) 마땅히 천하 국가가 모두 그릇된 이치가 아님을 알 것이다. 故學至於不尤人(고학지어불우인) 그러므로 학문이 남을 탓하지 않는 데까지 이르는 것은, 學之至也(.. 近思錄 2016.10.05
卷五 克己 35. 인(仁)을 좋아한 후에 불인을 미워하라 卷五 克己 35. 인(仁)을 좋아한 후에 불인을 미워하라 惡不仁故(악불인고) 不善未嘗不知(불선미상불지) 불인(不仁)을 미워하는 것은, 불선(不善)을 알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徒好仁而不惡不仁(도호인이불악불인) 다만 인(仁)을 좋아하고 불인(不仁)을 미워하지 않으면, 則習不察(즉습불찰) .. 近思錄 2016.10.04
卷五 克己 34. 작은 악도 반드시 제거하라 卷五 克己 34. 작은 악도 반드시 제거하라 纖惡必除(섬악필제) 작은 악일지라도 반드시 제거한다면, 善斯成性矣(선사성성의) 선(善)이 본래의 성품으로 될 것이며, 察惡未盡(찰악미진) 악한 것을 알고도 다 없애지 않는다면, 雖善必粗矣(수선필조의) 비록 선한 일일지라도 반드시 거칠다. &l.. 近思錄 2016.10.04
卷五 克己 33. 작은 일로써 큰일을 그르치지 말라 卷五 克己 33. 작은 일로써 큰일을 그르치지 말라 橫渠先生曰(횡거선생왈) 횡거 선생이 말하기를, 湛一氣之本(담일기지본) 攻取氣之欲(공취기지욕) "담일(湛一)은 기(氣)의 근본이며, 공격과 빼앗는 것은 기의 욕망이다. 口腹於飮食(구복어음식) 鼻口於臭味(비구어취미) 입과 배가 음식을 .. 近思錄 2016.10.04
卷五 克己 32. 어진 자를 보면 그와 같이 되기를 생각하라 卷五 克己 32. 어진 자를 보면 그와 같이 되기를 생각하라 見賢便思齊(견현편사제) 어진 사람을 보면 그와 같이 되기를 생각하고, 有爲者亦若是(유위자역약시) 일을 하는 사람을 보아도 또한 그와 같이 하여야 하며, 見不賢而內自省(견불현이내자성) 어질지 못한 사람을 보면 자신을 반성.. 近思錄 2016.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