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七 出處 8. 홀로 그 몸을 깨끗이 하는 사람도 있다. 卷七 出處 8. 홀로 그 몸을 깨끗이 하는 사람도 있다. 蠱之上九曰(고지상구왈) 고괘(蠱卦)의 상구(上九)에 말하기를, 不事王侯(불사왕후) 高尙其事(고상기사) "왕후를 섬기지 않고, 그 행위를 고상히 여긴다"하였고, 象曰(상왈) 또 상(象)에 말하기를, 不事王侯(불사왕후) 志可則也(지가즉야) .. 近思錄 2016.11.02
卷七 出處 7. 세상이 귀히 여기는 것을 군자는 천히 여긴다. 卷七 出處 7. 세상이 귀히 여기는 것을 군자는 천히 여긴다. 君子所貴(군자소귀) 世俗所羞(세속소수) 군자가 귀하게 여기는 바는, 세속 사람들이 부끄러워하는 것이고, 世俗所貴(세속소귀) 君子所賤(군자소천) 세속의 사람들이 귀하게 여기는 바는, 군자가 천하게 여긴다. 故曰(고왈) 그러.. 近思錄 2016.11.02
卷七 出處 6. 양쪽을 겸하여 갖지 못한다. 卷七 出處 6. 양쪽을 겸하여 갖지 못한다. 人之所隨(인지소수) 得正則遠邪(득정즉원사) 사람이 따르는 바가, 바른 것을 얻으면 사악으로부터 멀어지고, 從非則失是(종비즉실시) 無兩從之理(무양종지리) 그른 좇으면 올바른 것을 잃게 된다. 양쪽을 따르는 이치는 없는 것이다. 隨之六二(수.. 近思錄 2016.11.02
卷七 出處 5. 대인은 막혀 있으나 형통하다. 卷七 出處 5. 대인은 막혀 있으나 형통하다. 大人於否之時(대인어부지시) 守其正節(수기정절) 대인은 막히는 때가 있어도, 그 바른 절조를 지키며, 不雜亂於小人之群類(부잡란어소인지군류) 소인의 무리와 섞여 난잡하게 굴지 않는다. 身雖否而道之亨也(신수부이도지형야) 몸은 비록 막혀.. 近思錄 2016.10.14
卷七 出處 4. 자기의 분수를 지키면 나아감에 잘못이 없다. 卷七 出處 4. 자기의 분수를 지키면 나아감에 잘못이 없다. 履之初九曰(이지초구왈) 이괘(履卦) 초구(初九)에 말하기를, 素履往無咎(소리왕무구) "자기의 분수를 지켜 행하면 나아감에 잘못이 없다"하였으며, 傳曰(전왈) <주역>에 말하기를, 夫人不能自安於貧賤之素(부인불능자안어빈.. 近思錄 2016.10.14
卷七 出處 3. 비괘(比卦)는 길(吉)이다. 卷七 出處 3. 비괘(比卦)는 길(吉)이다. 比吉(비길) 비괘(比卦)는 길(吉)이다. 原筮元永貞(원서원영정) 無咎(무구) 다시 점쳐서 원(元)·영(永)·정(貞)이면, 허물이 없다. 傳曰(전왈) <주역>에 말하기를, 人相親比(인상친비) 必有其道(필유기도) "사람이 서로 친하려면, 반드시 그 도가 있.. 近思錄 2016.10.14
卷七 出處 2. 군자는 때를 기다린다. 卷七 出處 2. 군자는 때를 기다린다. 伊子之需時也(군자지수시야) 군자가 때를 기다릴 때에는, 安靜自守(안정자수) 마음을 안정시키고 자신을 지켜야 한다. 志雖有須(지수유수) 마음에 비록 기다림이 있다고 할지라도, 而恬然若將終身焉(이념연약장종신언) 마음이 편하여 일생을 마칠 때.. 近思錄 2016.10.14
卷七 出處 1. 어찌 자진하여 군주에게 벼슬을 구하겠는가. 卷七 出處 1. 어찌 자진하여 군주에게 벼슬을 구하겠는가. 伊川先生曰(이천선생왈) 이천 선생이 말하기를, 賢者在下(현자재하) "어진 자가 아래에 있을 때, 豈可自進以求於君(기가자진이구어군) 어찌 자진해서 군주에게 벼슬을 구하겠는가. 苟自求之(구자구지) 진실로 자진하여 구한다면, .. 近思錄 2016.10.14
卷六 家道 22. 처음에는 누구나 열심히 한다. 卷六 家道 22. 처음에는 누구나 열심히 한다. 婢僕始至(비복시지) 여자종과 남자종은 처음 왔을 때에는, 本懷勉勉敬心(본회면면경심) 본래 열심히 일하고 주인을 공경하려는 마음을 품고 있다. 若到所提掇(약도소제철) 更謹則可謹(갱근칙가근) 만약 그 마음을 이끌어서, 주인이 삼가면 .. 近思錄 2016.10.11
卷六 家道 21. 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을 익혀라. 卷六 家道 21. 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을 익혀라. 人不爲周南召南(인불위주남소남) 사람으로서 주남과 소남을 읽지 않으면, 其猶正牆面而立(기유정장면이립) 마치 담벽을 향하여 서 있는 것과 같다. 常深思此言(상심사차언) 誠是(성시) 항상 이 말을 깊이 생각해보면, 참으로 옳은 말이다. .. 近思錄 2016.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