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 제2편第2篇 존한存韓 : 진나라 왕에 대한 이사의 상서 한비자韓非子 제2편第2篇 존한存韓 : 진나라 왕에 대한 이사의 상서 - 韓非子 第2篇 存韓[2]- 詔以韓客之所上書,(조이한객지소상서) 조명으로 한의 객이 올린 상소문 書言韓之未可擧,(서언한지미가거) 下臣斯. (하신사) 즉 한을 쳐부셔서는 안 된다고 말한 그 글을 신 이사에게 내리셨.. 한비자 2012.10.23
한비자韓非子 제2편第2篇 존한存韓 : 공략에는 순서가 있다 한비자韓非子 제2편第2篇 존한存韓 : 공략에는 순서가 있다. - 韓非子 第2篇 存韓[1]- 韓事秦三十餘年, (한사진삼십여년) 한나라는 진나라를 섬긴 지 30년이 되었으나 出則爲扞蔽, (출즉위한폐) 그 동안 전쟁 때는 진나라의 방패가 되었고, 入則爲蓆薦. (인즉위석천) 평화가 오면 진.. 한비자 2012.10.23
한 때 곤궁해도 자포자기하지 마라【前集 084】 한 때 곤궁해도 자포자기하지 마라 【前集 084】 貧家淨拂地, 빈가정불지, 貧女淨梳頭, 빈녀정소두, 景色雖不艶麗, 경색수불염려, 氣度自是風雅. 기도자시풍아. 士君子一當窮愁寥落, 사군자일당궁수요락, 奈何輒自廢弛裁? 내하첩자폐이재? 가난한 집도 깨끗이 청소하고, 가난한 집 여자.. 菜根譚[完] 2012.10.18
치우치지 않음이 참다운 덕이다.【前集 083】 치우치지 않음이 참다운 덕이다. 【前集 083】 淸能有容, 청능유용, 仁能善斷, 인능선단, 明不傷察, 명불상찰, 直不過矯, 직불과교, 是謂 「蜜餞不甛, 海味不醎」, 시위 「밀전불첨, 해미불함」, 纔是懿德. 재시의덕. 청렴 결백하면서도 너그럽고, 어질면서도 결단력이 있으며, 총명.. 菜根譚[完] 2012.10.18
明心寶鑑 天命編 7 하늘에 죄를 지으면 明心寶鑑 天命編 7 하늘에 죄를 지으면 子曰(자왈), 공자가 말하기를, 獲罪於天(획죄어천)이면 악을 행하여 하늘에 죄를 지으면 無所禱也(무소도야)니라. 호소할 곳이 없게 된다. [영 역] When an evil deed is done and a wrong is committed to heaven there is no place in which to seek forgiveness. 앞에서 말했듯이 .. 明心寶鑑[完] 2012.10.14
明心寶鑑 天命編 6 하늘의 그물은 빠져 나갈 수가 없다. 明心寶鑑 天命編 6 하늘의 그물은 빠져 나갈 수가 없다. 種瓜得瓜(종과득과)요 오이씨를 심으면 오이를 얻고 種豆得豆(종두득두)니 콩을 심으면 콩을 얻는다. 天綱(천강)이 회회(恢恢)하여 하늘의 그물은 넓고도 넓어서 疎而不漏(소이불루)라. 엉성하기는 하나 결코 새지는 않는다. [영 역].. 明心寶鑑[完] 2012.10.14
평탄한 길을 마다하고 위험한 길만 찾는다. (노자 하편 제53장) 평탄한 길을 마다하고 위험한 길만 찾는다. (노자 하편 제53장) 使我介然有知, (사아개연유지,) 나에게 약간의 지혜가 있다면 行於大道, (행어대도,) 무위의 큰길을 거닐며 唯施是畏, (유시시외,) 오직 사도에 잘 못 빠질까 두려워 할 것이다. 大道甚夷, 而民好徑, (대도심이, 이민호경,) 대도.. 道德經[完] 2012.10.14
孫子兵法;第十三篇 用間[04] 이중간첩을 활용하라 孫子兵法;第十三篇 用間[04] 이중간첩을 활용하라 凡軍之所欲擊,(범군지소욕격) 城之所欲攻, (성지소욕공) 무릇 공격하고자 하는 군대, 공략하고자 하는 요새, 人之所欲殺,(인지소욕살) 살해하고자 하는 인물에 대해서는 必先知其守將·(필선지기수장) 左右·謁者·(좌우알자) 門者.. 孫子兵法[完] 2012.10.14
孫子兵法;第十三篇 用間[03] 정보가 누설되면 둘 다 죽인다. 孫子兵法;第十三篇 用間[03] 정보가 누설되면 둘 다 죽인다. 故三軍之親,(고삼군지친) 交莫親於間, (교막친어간) 전체 군사의 일 중에서 간첩과의 관계보다 더 친밀한 것은 있을 수 없고, 賞莫厚於間, (상막후어간) 간첩에게 주는 포상보다 더 후한 상이 있을 수 없으며, 事莫密於間. (.. 孫子兵法[完] 2012.10.14
孫子兵法;第十三篇 用間[02] 간첩의 5종류 孫子兵法;第十三篇 用間[02] 간첩의 5종류 故用間有五. (고용간유오) 간첩을 이용하는 방법은 다섯 가지가 있다. 有鄕間,(유향간) 有內間,(유내간) 有反間,(유반간) 향간, 내간, 반간, 有死間,(유사간) 有生間.(유생간) 사간, 생간이 그것이다. 五間俱起,(오간구기) 莫知其道,(막지구도) 이.. 孫子兵法[完] 2012.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