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 제1편第1篇 초견진初見秦 :도를 지키지 않으면 망한다. 한비자韓非子 제1편第1篇 초견진初見秦 :도를 지키지 않으면 망한다. - 韓非子 第1篇 初見秦[4]- 且臣聞之曰:(차신문지왈) 저는 다음과 같은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戰戰栗栗,(전전율율) 日愼一日,(일신일일) 「두려워 떨며, 날마다 더욱 근신하라. 苟愼其道,(구신기도) 天下可有... 한비자 2012.10.11
한비자韓非子 제1편第1篇 초견진初見秦 :공격을 하였으면 끝을 보아야 한다. 한비자韓非子 제1편第1篇 초견진初見秦 :공격을 하였으면 끝을 보아야 한다. - 韓非子 第1篇 初見秦[3]- 趙氏,(조씨) 中央之國也, (중앙지국야) 조나라는 중앙에 위치한 나라로 難民所居也, (난민소거야) 이웃 여러 나라에서 백성들이 모여들어 섞여 살고 있었기 때문에 其民輕而難用.. 한비자 2012.10.11
한비자韓非子 제1편第1篇 초견진初見秦 : 뿌리를 뽑아야 한다. 한비자韓非子 제1편第1篇 초견진初見秦 : 뿌리를 뽑아야 한다. - 韓非子 第1篇 初見秦[2]- 臣敢言之. (신감언지) 신이 감히 말하옵니다. 往者齊南破荊,(왕자제남파형) 東破宋,(동파송) 옛날 제나라는 남쪽으로 초나라를 격파하고 동쪽으로는 송나라를 격파하였으며, 西服秦,(서복진) .. 한비자 2012.10.11
한비자韓非子 제1편第1篇 초견진初見秦 : 역으로 순을 치면 망한다. 한비자韓非子 제1편第1篇 초견진初見秦 : 역으로 순을 치면 망한다. - 韓非子 第1篇 初見秦[1]- 臣聞:(신문)「不知而言,(부지이언) 不智 (부지) 신이 들은 말에「잘 모르면서 말하는 것은 무지이고, 知而不言,(지이불언) 不忠.」(불충) 알면서 말하지 않는 것은 불충이다」라는 말이 있.. 한비자 2012.10.11
한비자(韓非子)에 대하여 한비자(韓非子)에 대하여 - 사기열전(史記列傳)- 한비(韓非)는 한(韓)나라의 여러 공자(公子)중의 한 사람이다. 형명법술(刑名法術)의 학문을 좋아했다. 그 귀착점은 황제(黃帝), 노자(老子)에 근본 한 것이다. 한비는 말더듬이로 말은 잘하지 못했다. 그러나 글은 잘 지었다. 이사(李斯)와 .. 한비자 2012.10.11
孫子兵法;第十一篇 九地[04] 싸우지 않을 수 없도록 하라 孫子兵法;第十一篇 九地[04] 싸우지 않을 수 없도록 하라 故(고) 善用兵者,(선용병자) 譬如率然.(비연솔연) 그러므로 전쟁에 능숙한 자는 비유하자면 솔연과 같다. 率然者,(솔연자) 常山之蛇也.(상산비사야) 솔연은 상산에 있는 뱀이다. 擊其首則尾至, (격기수즉미지) 머리를 공격하면 .. 孫子兵法[完] 2012.10.10
孫子兵法;第十一篇 九地[03] 극한상황에서는 사력을 다한다. 孫子兵法;第十一篇 九地[03] 극한상황에서는 사력을 다한다. 凡爲客之道:(범위객지도) 深入則專,(심입즉전) 무릇 객(客)의 길은 깊숙이 들어가면 곧 전력을 다하게 되므로 主人不克.(주인불극) 주인이 이를 이겨내지 못한다. 掠於饒野,(약어요야) 三軍足食.(삼군족식) 적국의 풍요한 들.. 孫子兵法[完] 2012.10.10
孫子兵法;第十一篇 九地[02] 기선을 제압하라 第十一篇 九地[02] 기선을 제압하라 所謂古之善用兵者, (소위고지선용병자) 이른바 옛부터 군사를 잘 활용했던 자들은 能使敵人,(능사적인) 前後不相及,(전후불상급) 적군의 전후(前後)의 부대가 서로 호응하며 싸울 수 없게 하고 衆寡不相恃,(중과불상시) 주력부대와 이를 따르는 부대.. 孫子兵法[完] 2012.10.09
孫子兵法;第十一篇 九地[01] 입지적 조건 第十一篇 九地[01] 입지적 조건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用兵之法,(용병지법) 有散地,(유산지) 有輕地,(유경지) 용병의 방법중 입지적 조건 가운데는, 산지가 있고, 경지가 있고, 有爭地,(유쟁지) 有交地,(유교지) 有衢地,(유구지) 쟁지, 교지, 구지가 있으며 有重地,(유중지) 有.. 孫子兵法[完] 2012.10.09
孫子兵法;第十篇 地形[05] 나를 알고 적을 알면 위태롭지 않다 第十篇 地形[05] 나를 알고 적을 알면 위태롭지 않다 知吾卒之可以擊,(지오졸지가이격) 이편 병졸이 적군을 공격할 능력이 있다는 것만을 알고, 而不知敵之不可擊, (이불지적지불가격) 공격해서는 안될 적의 대비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면 勝之半也. (승지반야) 승리의 확률이 반이다.. 孫子兵法[完]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