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3.八佾編 4.예의 근본은? 論語 3.八佾編 4.예의 근본은? 林放(임방)이 問禮之本. (문예지본)한대 임방이 예의 근본을 묻자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大哉(대재)라 問! (문)이여! 큼직한 질문이군! 禮,(예)는 與其奢也(여기사야)론 寧儉, (영검)이요 에는 사치하느니보다는 검박해야 한다. 喪,(상)을 與其易也.. 논어(論語)[完] 2012.10.06
바람이 지나도 소리를 남기지 않는다.【前集 082】 바람이 지나도 소리를 남기지 않는다. 【前集 082】 風來疎竹, 風過而竹不留聲. 풍래소죽, 풍과이죽불류성. 雁度寒潭, 雁去而潭不留影. 안도한담, 안거이담불류영. 故君子, 고군자, 事來而心始現, 事去而心隨空. 사래이심시현, 사거이심수공. 바람이 성긴 대숲에 불어와도 바람이 지나가.. 菜根譚[完] 2012.10.06
기상은 높되 소홀해서는 안 된다.【前集 081】 기상은 높되 소홀해서는 안 된다. 【前集 081】 氣象要高曠, 而不可疎狂. 기상요고광, 이불가소광. 心思要縝密, 而不可瑣屑. 심사요진밀, 이불가쇄설. 趣味要冲淡, 而不可偏枯. 취미요충담, 이불가편고. 操守要嚴明, 而不可激烈. 조수요엄명, 이불가격렬. 사람의 기상은 높을수록 .. 菜根譚[完] 2012.10.06
第九篇 行軍[05] 언동의 살펴 의도를 파악한다. 第九篇 行軍[05] 언동의 살펴 의도를 파악한다. 辭卑而益備者,(사비이익비자) 進也. (진야) 적의 말씨는 겸손한데 방어에 진력하고 있다는 것은 공격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辭强而進驅者,(사강이진구자) 退也. (퇴야) 어조가 강경하며 진격 태세를 취하는 것은 철수할 의사가 있는 것.. 孫子兵法[完] 2012.10.06
第九篇 行軍[04] 주변 정황으로 정보를 얻는다. 第九篇 行軍[04] 주변 정황으로 정보를 얻는다. 敵近而靜者,(적근이정자) 恃其險也.(시기험야) 적이 가까이 있는 데도 조용한 것은 지형의 험준함을 믿고 있기 때문이다. 遠而挑戰者,(원이도전자) 欲人之進也. (욕인지진야) 멀리 포진하고서도 자주 도발하여 오는 것은 이편의 공격을 유.. 孫子兵法[完] 2012.10.06
第九篇 行軍[03] 위험한 지형들 第九篇 行軍[03] 위험한 지형들 凡地有絶澗·(범지유절간) 天井·(천정)天牢(천뢰)· 天羅(천라)·天陷(천함)·天隙,(천극) 무릇 지형에는 위험한 곳이 있다. 절벽에 둘러싸인 깊은 계곡, (絶澗) 사방이 높고 가운데는 낮아 물이 고이는 우물 같은 분지, (天井) 험준하여 감옥과 같은 곳(.. 孫子兵法[完] 2012.10.06
第九篇 行軍[02] 양지와 음지 第九篇 行軍[02] 양지와 음지 凡軍喜高而惡下, (범군희고이악하) 무릇 군대에게는 높은 곳은 좋으나 낮은 곳은 좋지 않고, 貴陽而賤陰, (귀양이천음) 賤 : 천할 천 양지는 좋으나 음지는 좋지 않은 법이다. 養生而處實, (양생이처실) 건강에 유의하여 양생에 도움이 될 곳을 점거하면 軍.. 孫子兵法[完] 2012.10.06
第九篇 行軍[01] 지형에 따른 전투법 第九篇 行軍[01] 지형에 따른 전투법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凡處軍·相敵, (범처군상적) 무릇 전투는 이편의 군진을 정비한 다음 적정을 관찰하면서 비롯한다. 絶山依谷, (절산의곡) 산을 넘을 경우에는 계곡을 의지해야 하며, 視生處高, (시생처고) 전망이 트인 고지를 점거.. 孫子兵法[完] 2012.10.06
第八篇 九變[05] 장수가 빠지기 쉬운 5가지 위험 第八篇 九變[05] 장수가 빠지기 쉬운 5가지 위험 故將有五危 : (고장유오위) 장수에게 다섯 가지 위험이 있다. 必死可殺也,(필사가살야) 1. 필사적으로 싸우는 자는 죽기 마련이다. 必生可虜也, (필생가로야) 2. 기어코 살겠다는 자는 포로가 되기 마련이다. 忿速可侮也, (분속가모야) 3. 성.. 孫子兵法[完] 2012.10.05
第八篇 九變[04] 권모술수 第八篇 九變[04] 권모술수 是故智者之慮,(시고지자지려) 그러므로 지혜 있는 자가 판단할 때는 必雜於利害. (필잡어리해) 반드시 이익과 손실을 아울러 참작해야 한다. 雜於利,(잡어리) 而務可信也. (이무가신야) 이익을 계산해 두면 하는 일에 확신을 가질 수 있고, 雜於害,(잡어해) 而.. 孫子兵法[完] 2012.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