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六篇 虛實[06] 형태의 극치는 무형이다 第六篇 虛實[06] 형태의 극치는 무형이다 故形兵之極,(고형병지극) 至於無形;(지어무형) 군의 형태의 극치는 남의 눈에 띄지 않는 무형의 것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無形則深間不能窺, (무형즉심간불능규) 무형의 것이 되면 잠입한 간첩도 정상을 탐지하지 못할 것이며, 智者不能謀. (.. 孫子兵法[完] 2012.10.02
第六篇 虛實[05] 적정을 살펴 분석하라 第六篇 虛實[05] 적정을 살펴 분석하라 故(고) 策之而知(책지이지) 得失之計, (득실지계) 그러므로 적정을 정찰하여 이해득실을 계산하고, 作之而知動靜之理, (작지이지동정지리) 적군을 자극하여 그 반응을 보아 그들의 동정을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形之而知死生之地, (형지이지사생.. 孫子兵法[完] 2012.10.02
第六篇 虛實[04] 때와 장소를 모르게 하라 第六篇 虛實[04] 때와 장소를 모르게 하라 故知戰之地,(고지전지지) 知戰之日, (지전지일) 전투할 곳이나 그 시기를 알고 있으면 則可千里而會戰. (즉가천리이회전) 천리의 먼 곳에서 대전하여도 좋지만 不知戰地,(불지전지) 不知戰日, (불지전일) 싸울 곳과 그 시기를 알지 못하면 則左.. 孫子兵法[完] 2012.10.02
第六篇 虛實[03] 아군은 집중하고 적은 분산시켜라 第六篇 虛實[03] 아군은 집중하고 적은 분산시켜라 故形人而我無形,(고형인이아무형) 고로 적의 진형은 드러나게 하고 아군의 진형은 안보이게 한다. 則我專而敵分.(즉아전이적분) 즉, 아군의 역량은 집중할 수 있게 하고 적병은 분산될 수밖에 없게 한다. 我專爲一,(아전위일) 敵分爲.. 孫子兵法[完] 2012.09.28
論語 2.爲政編 19.백성이 복종하고 불복종하는 이유 論語 2.爲政編 19.백성이 복종하고 불복종하는 이유 哀公(애공)이 問曰,(문왈) “何爲則民服?”(하위즉민복)이니까? 애공이 “어찌 하면 백성들이 따르겠습니까? 하고 묻자 孔子對曰,(공자대왈) 공자께서 대답하여 말씀하셨다. “擧直錯諸枉,(거직조제왕) 則民服,(즉민복)하고 곧은 사람을 .. 논어(論語)[完] 2012.09.28
論語 2.爲政編 18.벼슬과 몸가짐 論語 2.爲政編 18.벼슬과 몸가짐 子張(자장)이學干祿.(학간록)한데 子曰, (자왈) 자장이 녹(祿:벼슬)을 구하기를 묻자 공자가 대답하였다. “多聞闕疑, (다문궐의)오 많이 듣되 의심스러운 것을 빼놓고 愼言其餘,(신언기여) 則寡尤,(즉과우)며 나머지를 신중히 말하면 허물이 적을 것이다. 多.. 논어(論語)[完] 2012.09.28
論語 2.爲政編 17.참으로 아는 것 論語 2.爲政編 17.참으로 아는 것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由!(유)아 誨女知之乎!(희여지지호)아 유야 네게 안다는 것에 대하여 가르쳐 주마 知之爲知之, (지지위지지)요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不知爲不知,(불지위불지)가 是知也.”(시지야)니라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논어(論語)[完] 2012.09.28
論語 2.爲政編 16.이단을 삼가라. 論語 2.爲政編 16.이단을 삼가라.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攻乎異端,(공호이단)이면 斯害也已.”(사해야이)니라 이단을 배우면 해로울 따름이다. 논어(論語)[完] 2012.09.28
論語 2.爲政編 15.배움과 사색 論語 2.爲政編 15.배움과 사색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學而不思則罔, (학이불사즉망)하고 배우기만하고 사색하지 않으면 어둡고 思而不學則殆.”(사이불학즉태)니라 사색만 하고 배우지 아니하면 위태롭다 논어(論語)[完] 2012.09.28
論語 2.爲政編 14.군자와 소인 論語 2.爲政編 14.군자와 소인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군자)는 周而不比,(주이불비)하고 군자는 두루 통하면서 편파적이 아니고 小人(소인)은 比而不周.”(비이불주)니라 소인은 편파적이면서 두루 통하지 못한다. 논어(論語)[完] 2012.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