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2.爲政編 7.효도와 존경 論語 2.爲政編 7.효도와 존경 子游問孝.(자유문효)한대 子曰,(자왈) 자유가 효를 물으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今之孝者,(금지효자)는 是謂能養. (시위능양)이니 요즘의 효는 잘 공양하는 것을 말하는데 至於犬馬,(지어견마)하여도 皆能有養, (개능유양)이니 개와 말도 다 길러 줌이 있으.. 논어(論語)[完] 2012.09.26
論語 2.爲政編 6.효(孝)와 건강 論語 2.爲政編 6.효(孝)와 건강 孟武伯 問孝. (맹무백)이 (문효)한대 맹무백이 효를 물으니 子曰,(자왈) “父母 (부모)는 唯其疾之憂.”(유기질지우)시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부모는 오직 자식들의 질병을 걱정하시느니라.“ 논어(論語)[完] 2012.09.26
뉘우침은 예방함만 못하다.【前集 080】 뉘우침은 예방함만 못하다. 【前集 080】 圖未就之功, 도미취지공, 不如保已成之業。 불여보이성지업。 悔已往之失, 회기왕지실, 不如防將來之非。 불여방장래지비。 아직 착수하지 않은 공을 도모하는 것은 이미 이룩한 공을 지키는 것만 못하고, 이미 지나간 허물을 후회하는 것은 앞.. 菜根譚[完] 2012.09.26
정욕은 내면의 도둑이다.【前集 079】 정욕은 내면의 도둑이다. 【前集 079】 耳目見聞爲外賊, 이목견문위외적, 情欲意識爲內賊。 정욕의식위내적。 只是主人翁, 惺惺不昧, 지시주인옹, 성성불매, 獨坐中堂, 독좌중당, 賊便化爲家人矣。 적변화위가인의。 귀와 눈으로 보고 듣는 것은 외부의 적이고 정욕과 의식은 내부의 적.. 菜根譚[完] 2012.09.26
욕심이 없으면 한 세상 초월할 수 있다.【前集 078】 욕심이 없으면 한 세상 초월할 수 있다. 【前集 078】 人只一念貪私, 인지일념탐사, 便銷剛爲柔, 변초강위유, 塞智爲昏, 색지위혼, 變恩爲慘, 변은위참, 染潔爲汚, 염결위오, 壞了一生人品。 괴료일생인품。 故古人以不貪爲寶, 고고인이불탐위보, 所以度越一世。 소이도월일세。 사람이 .. 菜根譚[完] 2012.09.26
第五篇 兵勢[04] 만전의 태세로 기세를 탄다. 第五篇 兵勢[04] 만전의 태세로 기세를 탄다. 亂生於治,(란생어치) 怯生於勇,(겁생어용) 弱生於彊.(약생어강) 혼란은 질서에서, 겁은 용기에서, 약함은 강함에서 각각 비롯된다. 治亂,(치란) 數也. (수야) 혼란에 빠지거나 질서가 유지되는 것은 군의 조직과 편성의 문제이며, 勇怯,(용겁) .. 孫子兵法[完] 2012.09.26
第五篇 兵勢[03] 기세와 절도 第五篇 兵勢[03] 기세와 절도 激水之疾,(격수지질) 至於漂石者,(지어표석자) 勢也;(세야) 세차게 흐르는 물이 돌까지 뜨게 하는 것은 기세가 맹렬하기 때문이다. 鷙鳥之疾,(지조지질) 至於毁折者,(지어훼절자) 節也.(절야) 사나운 새가 질풍과 같이 짐승을 급습하여 그 뼈를 부수고 날.. 孫子兵法[完] 2012.09.26
第五篇 兵勢[02] 정공법과 기습작전 第五篇 兵勢[02] 정공법과 기습작전 凡戰者,(범전자) 以正合,(이정합) 以奇勝.(이기승) 모든 전쟁은 정공법으로 대결하고 기습으로써 승리한다. 故善出奇者,(고선출기자) 無窮如天地, (무궁여천지) 기습작전을 잘 쓰는 자의 변통은 천지와 같이 무궁하고 不竭如江河. (불갈여강하) 강물.. 孫子兵法[完] 2012.09.26
第五篇 兵勢[01] 직제과 공방 第五篇 兵勢[01] 직제과 공방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凡治衆如治寡, (범치중여치과) 무릇 다수의 병력을 통솔하면서도 소수의 병력을 통솔하듯 하는 것은 分數是也. (분수시야) 조직과 편제가 있기 때문이다. 鬪衆如鬪寡, (투중여투과) 많은 군대를 전투에 참가시키면서도 소.. 孫子兵法[完] 2012.09.26
第四篇 軍形[04] 정치가 승패를 결정한다. 第四篇 軍形[04] 정치가 승패를 결정한다. 善用兵者,(선용병자) 修道而保法, (수도이보법) 용병을 잘하는 자는 지도력을 잘 수양하고 법과 제도를 잘 보전한다. 故能爲勝敗之政.(고능위승패지정) 따라서 승패를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이 있게 되는 것이다 兵法:(병법) 一曰度,(일왈도) 二曰.. 孫子兵法[完] 2012.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