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四篇 軍形[03] 승산이 확실한 뒤에 전쟁을 한다 第四篇 軍形[03] 승산이 확실한 뒤에 전쟁을 한다 見勝不過衆人之所知,(견승불과중인지소지) 非善之善者也,(비선지선자야) 승리를 예견하는 능력이 일반사람들도 다 알 수 있는 정도로서는 뛰어난 자라 할 수 없다. [누가 보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승리는 최선의 승리가 아니다.] 戰.. 孫子兵法[完] 2012.09.25
第四篇 軍形[02] 공격과 방어 第四篇 軍形[02] 공격과 방어 不可勝者,(불가승자) 守也, (수야) 이길 수 없는 자는 지키고, 可勝者,(가승자) 攻也. (공야) 이길 수 있는 자는 공격한다. 守則不足, (스즉불족) 방어하는 것은 군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요. 攻則有餘. (공즉유여) 공격하는 것은 군사력이 여유가 있기 때문이.. 孫子兵法[完] 2012.09.25
第四篇 軍形[01] 승패는 적에게 달려 있다 第四篇 軍形[01] 승패는 적에게 달려 있다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昔之善戰者, (석지선전자) 예로부터 전쟁에 능한 자는 先爲不可勝, (선위불가승) 먼저 적이 승리하지 못하도록 만전의 태세를 갖추고 以侍敵之可勝. (이대적지가승) 아군이 승리할 수 있을 때를 기다렸다. 不.. 孫子兵法[完] 2012.09.25
論語 2.爲政編 4.공자의 사상과 인격의 발달 과정 論語 2.爲政編 4.공자의 사상과 인격의 발달 과정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吾十有五而志于學, (오십유오이지우학)하고 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세우고 三十而立, (삼십이입)하고 서른 살에 독립했고 四十而不惑, (사십이불혹)하고 마흔 살에 현혹되지 않았고 五十而知天命.. 논어(論語)[完] 2012.09.25
論語 2.爲政編 3.법과 형보다 덕과 예를 행하라. 論語 2.爲政編 3.법과 형보다 덕과 예를 행하라.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道之以政,(도지이정)하고 齊之以刑, (제지이형)이면 법으로 이끌고 형벌로 다스리면 民免而無恥, (민면이무치)니라 백성들이 형벌은 모면하나 부끄러움을 못 느낀다. 道之以德, (도지이덕)하고 齊之以.. 논어(論語)[完] 2012.09.25
論語 2.爲政編 2.시경(詩經)의 정신 論語 2.爲政編 2.시경(詩經)의 정신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詩三百,(시삼백)에 一言以蔽之,(일어이폐지)하니 시경에 있는 삼백 편의 시(詩)는 한 마디로 말해서 曰, ‘思無邪’.”(왈 사무사)니라 생각에 사악함이 없다. 논어(論語)[完] 2012.09.25
論語 2.爲政編 1.정치의 근본은 도덕이다 論語 2.爲政編 1.정치의 근본은 도덕이다 子曰: (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爲政以德,(위정이덕)이 譬如北辰 (비여북진)이 居其所(거기소)이어든 덕으로서 다스림은 마치 북극성이 제자리에 있으면서 而衆星共之,(이중성공지)니라 여러 별들이 한 결 같이 공수(공수)하고 있는 것과 같으니.. 논어(論語)[完] 2012.09.25
第三篇 謀攻[07]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第三篇 謀攻[07]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故曰 :(고왈) 知彼知己,(지피지기) 百戰不殆. (백전백태) 요컨대 적정(敵情)을 알고 아군의 실정(實情)을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不知彼而知己,(부지피이지기) 一勝一負, (일승일부) 저편의 사정을 알지 못하고, 이편의 사정만을 .. 孫子兵法[完] 2012.09.24
第三篇 謀攻[06] 승리를 판단하는 다섯 가지 第三篇 謀攻[06] 승리를 판단하는 다섯 가지 故知勝有五: (고지승유오) 그러므로 승리를 예지할 수 있는 5가지 요점이 있으니, 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지가이전여불가이전자승) 첫째, 싸워서 유리한 지, 불리한 지를 분별하여 싸우는 자는 승리한다. 識衆寡之用者勝, (식중과지용자승.. 孫子兵法[完] 2012.09.24
第三篇 謀攻[05] 간섭하지 마라 第三篇 謀攻[05] 간섭하지 마라 夫將者,(부장자) 國之輔也. (국지보야) 장수는 통치자를 보좌한다. 輔周則國必强, (보주즉국필강) 보좌가 완전하면 국가가 강대해질 것이고, 輔隙則國必弱.(보극즉국필약) 보좌가 불완전하면 국가가 약화된다. [보(補)란 차바퀴의 양쪽 차축을 버티는 덧.. 孫子兵法[完] 2012.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