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七篇 軍爭[04] 전쟁은 기만으로 성립한다. 第七篇 軍爭[04] 전쟁은 기만으로 성립한다. 故兵以詐立,(고병이작립) 以利動,(이리동) 전쟁은 적을 기만하는 것으로써 성립하고, 유리한 방향에 좇아 행동하는 것이다. 以分合爲變者也. (이분합위변자야) 병력을 분산시키거나 통합하는 등 수시로 변화해야 한다. 故其疾如風,(고기질여.. 孫子兵法[完] 2012.10.04
論語 2.爲政編 24.아첨과 용기 論語 2.爲政編 24.아첨과 용기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非其鬼而祭之,(비기귀이제지)이 諂也.(첨야)요 내가 모셔야 할 귀신도 아닌데 무턱대고 제사지내는 것은 아첨이다. 見義不爲,(견의불위)이 無勇也.”(무용야)니라 정의를 보고 나서서 실천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 논어(論語)[完] 2012.10.03
論語 2.爲政編 23.과거를 알면 미래를 알 수 있다. 論語 2.爲政編 23.과거를 알면 미래를 알 수 있다. 子張(자장)이 問(문) 十世(십세)를 可知也.(가지야)이까? 자장이 물었다. 앞으로 십대의 일을 알 수 있겠습니까? 子曰, (자왈)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殷因於夏禮,(은인어하례)하니 所損益, 可知也,(소손익 가지야)하며 은은 하의 예를 따랐.. 논어(論語)[完] 2012.10.03
論語 2.爲政編 22.신의 없는 사람은 멍에 없는 수례 論語 2.爲政編 22.신의 없는 사람은 멍에 없는 수례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人而無信,(인이무신)이면 不知其可也.(불지기가야)라! 사람으로서 신의가 없으면 그의 쓸모를 알 수가 없다. 大車無輗,(대거무예)하며 小車無軏, (소거무월)이면 큰 수례에 멍에(輗)가 없.. 논어(論語)[完] 2012.10.03
論語 2.爲政編 21.정치의 출발은 효도와 우애이다. 論語 2.爲政編 21.정치의 출발은 효도와 우애이다. 或(혹)이 謂孔子曰,(위공자왈) 어떤 사람이 공자에게 물었다. “子奚不爲政?”(자해불위정) 선생께서는 왜 정치를 하지 않으십니까? 子曰, (자왈) 이에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書云,(서운) ‘孝乎 (효호)인저 惟孝,(유효)하며 서경에 효도.. 논어(論語)[完] 2012.10.03
論語 2.爲政編 20.윗사람이 선량하면 아랫사람도 선량해진다. 論語 2.爲政編 20.윗사람이 선량하면 아랫사람도 선량해진다. 季康子問, (계강자문) 계강자가 물었다. “使民敬忠以勸,(사민경충이권)한대 如之何?”(여지하)이까 백성들로 하여금 경건 충성스럽게 하고 선행을 권면하려면 어찌 하면 되겠소?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臨之以莊.. 논어(論語)[完] 2012.10.03
第七篇 軍爭[03] 지형을 파악하라 第七篇 軍爭[03] 지형을 파악하라 故不知諸侯之謀者,(고부지제후지모자) 不能豫交, (불능예교) 그러므로 제후의 책모를 모르는 자는 미리 외교교섭을 맺지 못하고, 不知山林,(부지산림) 險阻,(험저) 沮澤之形者,(저택지형자) 산림의 험준함과 습지대의 지형을 알지 못하는 자는 不能行.. 孫子兵法[完] 2012.10.03
第七篇 軍爭[02] 경쟁적인 진군은 위험하다 第七篇 軍爭[02] 경쟁적인 진군은 위험하다 故軍爭爲利,(고군쟁위리) 軍爭爲危. (군쟁위위) 고로 군대가 유리한 자리를 경쟁하는 것은 이익이 될 수도 있고 위해가 될 수도 있다. 擧軍而爭利,(거군이쟁리) 則不及;(즉불급) 모든 군대를 통제하여 유리한 곳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는 것.. 孫子兵法[完] 2012.10.03
第七篇 軍爭[01] 우회작전 第七篇 軍爭[01] 우회작전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凡用兵之法,(범용병지법) 將受命於君,(장수명어군) 대체로 전쟁은 장수가 통수권자의 명령을 받아 合軍聚衆,(합군취중) 交和而舍, (교화이사) 군을 소집 편성하여 군영을 적과 대치하여 주둔한다. 莫難於軍爭.(막난어군쟁) 적.. 孫子兵法[完] 2012.10.03
第六篇 虛實[07] 군의 형태는 물과 같아야 한다 第六篇 虛實[07] 군의 형태는 물과 같아야 한다 夫兵形象水, (부병형상수) 무릇 군의 형태는 물과 같아야 한다. 水之行,(수지행) 避高而趨下, (피고이추하) 물의 형태는 높은 곳을 피하고 아래로 흐르기 마련이다. 兵之形,(병지형) 避實而擊虛, (피실이격허) 군의 형태도 적의 충실한 점을.. 孫子兵法[完] 2012.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