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篇 謀攻[04] 열세일 때는 후퇴하라 第三篇 謀攻[04] 열세일 때는 후퇴하라 故用兵之法, (고용병지법) 그러므로 병력을 사용하는 방법은 十則圍之, (십즉위지) 이편이 적군의 10배가 되면 그들을 포위하고, 五則攻之, (오즉공지) 이 편이 5배가 되면 공격해도 좋다. 倍則分之, (배즉분지) 이편이 2배가 되면 적군을 분산시켜 .. 孫子兵法[完] 2012.09.24
論語 1.學而編 16.남을 알지 못함을 걱정하라 論語 1.學而編 16.남을 알지 못함을 걱정하라 子曰:(자왈) 공자가 말했다. 「不患人之不己知, (불환인지불기지)요 「남이 나를 몰라보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患不知人也. 」(환불지인야)니라 내가 남을 몰라봄을 걱정하라.」 논어(論語)[完] 2012.09.24
論語 1.學而編 15.가난과 도(道), 부귀와 예(禮) 論語 1.學而編 15.가난과 도(道), 부귀와 예(禮) 子貢曰: (자공왈) 자공이 물었다. 「貧而無諂, (빈이무첨)하며 「가난하되 아첨하지 않고, 富而無驕,(부이무교)하되 何如? 」(하여)하니이꼬 부유하되 교만하지 않는 것은 어떻습니까.」 子曰:(자왈) 「可也. (가야)나 공자가 말했다. 괜찮다. .. 논어(論語)[完] 2012.09.24
論語 1.學而編 14.학문을 좋아하는 사람 論語 1.學而編 14.학문을 좋아하는 사람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食無求飽,(군자식무구포)하며 居無求安, (거무구안)하며 「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고 거처함에 편안함을 구하지 않고, 敏於事而愼於言, (민어사이신어언)이면 일에는 민첩하고 말에는 조심하고,.. 논어(論語)[完] 2012.09.24
論語 1.學而編 13.말과 행동과 교제 論語 1.學而編 13.말과 행동과 교제 有子曰: (유자왈) 유자가 말했다. 「信近於義,(신근어의)면 言可復也;(언가복야)며 「약속이 의에 가까워야 그 말은 실천할 수 있고, 恭近於禮,(공근어례)면 遠恥辱也; (원치욕야)며 공손함이 예에 가까워야 치욕을 멀리할 수 있다. 因不失其親,(인불실기.. 논어(論語)[完] 2012.09.24
論語 1.學而編 12.조화(調和)와 예(禮) 論語 1.學而編 12.조화(調和)와 예(禮) 有子曰: (유자왈) 유자(有子)가 말하기를 「禮之用,(예지용)이 和爲貴.(화위기)하니 禮를 행함에 온화함이 귀중하니 先王之道斯爲美, (선왕지도사위미)라 선왕의 도를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小大由之.(소대유지)니라. 작고 큰 것(예)이 다 그것(和)에 말.. 논어(論語)[完] 2012.09.24
論語 1.學而編 11.효자의 자격 論語 1.學而編 11.효자의 자격 子曰: (자왈) 공자가 말했다. 「父在,(부재)에 觀其志;(관기지)오 「아버지가 살아있을 때엔 그 뜻을 살펴 받들고, 父沒,(부몰)에 觀其行;(관기행)이니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는 그 행적을 살피는 것이니. 三年(삼년)을 無改於父之道,(무개어부지도)라야 삼년 .. 논어(論語)[完] 2012.09.24
第三篇 謀攻[03] 모략이 최고의 전법이다. 第三篇 謀攻[03] 모략이 최고의 전법이다. 故善用兵者, (고선용병자) 그러므로 최상의 지휘자는 屈人之兵而非戰也. (굴인지병이비전야) 적의 군대를 굴복시키지만 전쟁을 강행하지 않는다. 拔人之城而非攻也, (발인지성이비공야) 적의 성을 함락시키지만 구태여 공격을 일삼지 않는다... 孫子兵法[完] 2012.09.23
第三篇 謀攻[02] 적의 음모를 분쇄하라 第三篇 謀攻[02] 적의 음모를 분쇄하라 故上兵伐謀, (고상병벌모) 최상의 전법은 적의 모략을 분쇄하는 일이고, 其次伐交, (기차벌교) 그 다음이 외교관계를 파괴하는 일이며, 其次伐兵, (기차벌병) 그 다음은 군사를 정벌하는 일이요, 其下攻城.(기하공성) 최하는 적의 요새를 공격하는 .. 孫子兵法[完] 2012.09.23
第三篇 謀攻[01] 싸우지 않고 승리하라. 第三篇 謀攻[01] 싸우지 않고 승리하라.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凡用兵之法,(범용병지법) 全國爲上, (전국위상) 대체로 전략은 적국을 온전한 채로 포섭하는 것이 최상이며 破國次之; (파국차지) 적의 국토를 파괴하고 얻은 것은 차선이다. 全軍爲上, (전군위상) 적의 군단을 .. 孫子兵法[完] 2012.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