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一篇 始計[05] 승산이 있어야 한다. 第一篇 始計[05] 승산이 있어야 한다. 夫未戰而廟算勝者, (부미전이묘산승자) 得算多也.(득산다야) 무릇 싸우지 않고도 묘산(廟算)하여 승리하는 자는 산(算)을 얻음이 많다. 未戰而廟算不勝者, (미전이묘산불승자) 得算少也.(득산소야) 아직 싸우지 않고도 묘산(廟算)하여 승리하지 못.. 孫子兵法[完] 2012.09.20
第一篇 始計[04] 병법은 기만전술이다. 第一篇 始計[04] 병법은 기만전술이다. 兵者,(병자) 詭道也. (궤도야) 병(兵)은 속임수이다. 故能而示之不能,(고능이시지불능) 능력이 있으면서도 능력이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用而示之不用, (용이시지불용) 혹은 필요하면서도 필요하지 않은 것처럼 위장을 한다. 近而視之遠,(근이.. 孫子兵法[完] 2012.09.20
욕망을 막으면 근심이 없다. (노자 하편 제52장) 욕망을 막으면 근심이 없다. (노자 하편 제52장) 天下有始, (천하유시,) 세상에는 처음이 있으니 以爲天下母, (이위천하모,) 그것을 천하의 어머니라 한다. 旣得其母, 復知其子, (기득기모, 복지기자,) 이미 모체를 알았으니 돌이켜 그 자식을 알 수 있다. 旣知其子, 復守其母, (기지기자, 복.. 道德經[完] 2012.09.19
주인이면서 지배하려 하지 않는다. (노자 하편 제51장) 주인이면서 지배하려 하지 않는다. (노자 하편 제51장) 道生之, (도생지,) 만물은 도에서 나오고 德畜之. (덕축지.) 덕이 그들을 기르고 物形之, (물형지,) 물체마다 형체가 있게 하며 勢成之. (세성지.) 환경에 따라 그들을 성장시킨다. 是以萬物, (시이만물,) 만물은 도를 존경하지 않는 것이.. 道德經[完] 2012.09.19
第一篇 始計[03] 비교의 일곱 가지 기준 第一篇 始計[03] 비교의 일곱 가지 기준 曰: 主孰有道? (왈 주숙유도) 1. 어느 편의 통치자가 더 정치를 잘 하는가. 將孰有能? (장숙유능) 2. 장수는 어느 편이 더 유능한가. 天地孰得? (천지숙득) 3. 천후와 지리는 어느 편이 유리한가. 法令孰行? (법령숙행) 4. 조직, 규율, 장비는 어느 편이 .. 孫子兵法[完] 2012.09.19
孫子兵法;第一篇 始計[02] 전쟁의 다섯 가지 조건 第一篇 始計[02] 전쟁의 다섯 가지 조건 다섯 가지 조건이란 무엇인가. 一曰道, (일왈도) 첫째 도덕의 도(道)이다 二曰天, (이왈천) 둘째는 하늘의 기상이요 三曰地, (삼왈지) 셋째는 지리(地利), 즉 지리적 조건의 이로움이며 四曰將, (사왈장) 넷째는 통솔하는 장수의 선정이고 五曰法. (.. 孫子兵法[完] 2012.09.19
孫子兵法;第一篇 始計[01] 전쟁은 국가의 중대사이다 第一篇 始計[01] 전쟁은 국가의 중대사이다 孫子曰 :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兵者,(병자) 國之大事. (국지대사) 전쟁은 국가의 중대사이다. 死生之地,(사생지지) 存亡之道, (존망지도) 백성의 생사를 좌우하며 국가의 존망이 기로에 서게 되므로 不可不察也. (불가불찰야) 신중히 검토하.. 孫子兵法[完] 2012.09.19
孫子兵法;손무(孫武)의 손자병법(孫子兵法)에 대하여 손자병법(孫子兵法) 손무(孫武)의 손자병법(孫子兵法)에 대하여 중국 고대 군사학의 명저로 현존하는 중국 최고(最古)의 병서(兵書)이다. 병법칠서(兵法七書) 중 으뜸으로 꼽히며 흔히 손오병법(孫吳兵法)이라고 하며, 손자(孫子) 오손자병법(吳孫子兵法) 손무병법(孫武兵法)등으로도 불.. 孫子兵法[完] 2012.09.19
맑은 물에는 고기가 살지 못한다.【前集 076】 맑은 물에는 고기가 살지 못한다. 【前集 076】 地之穢者, 多生物。 지지예자, 다생물。 水之淸者, 常無魚。 수지청자, 상무어。 故君子當存含垢納汚之量, 고군자당존함구납오지량, 不可持好潔獨行之操。 불가지호결독행지조。 더러운 땅에는 초목이 많이 자라지만 맑은 물에는 언제나 .. 菜根譚[完] 2012.09.19
고난 뒤에 얻은 행복이 참 행복이다. 【前集 074】 고난 뒤에 얻은 행복이 참 행복이다. 【前集 074】 一苦一樂, 일고일락, 相磨練, 상마련, 練極而成福者, 연극이성복자, 其福始久。 기복시구。 一疑一信, 일의일신, 相參勘, 상참감, 勘極而成知者, 감극이성지자, 其知始眞。 기지시진。 하나의 괴로움과 하나의 즐거움을 서로 연마하여 연.. 菜根譚[完] 201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