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6.雍也編 17.사람의 삶은 곧은 것이다. 論語 6.雍也編 17.사람의 삶은 곧은 것이다. 子曰 (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人之生也(인지생야) 直(직)하니 "사람의 삶은 곧아야 하는 것이다. 罔之生也(망지생야)는 幸而免(행이면)이니라 곧지 않으면서 살아 있는 것은 요행히 죽음을 면했을 뿐이다." 논어(論語)[完] 2012.12.05
論語 6.雍也編 16.문(文)과 질(質)의 조화. 論語 6.雍也編 16.문(文)과 질(質)의 조화. 子曰 (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質勝文則野(질승문즉야)요 "질(質:바탕)이 문(文:겉모양)을 이기면 투박하고, 文勝質則史(문승질즉사)니 문이 질을 이기면 사(史)(허황되다)하므로, 文質(문질)이 彬彬然後(빈빈연후)에 君子(군자)니라 문과 질이 서.. 논어(論語)[完] 2012.12.05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행실이 이상하고 무례하면 신세를 망친다.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행실이 이상하고 무례하면 신세를 망친다. - 韓非子 第10篇 十過[4]- [굶어 죽은 영왕] 奚謂行僻?(해위행벽?) 행실이 치우친다는 것은 무엇인가. 昔者楚靈王爲申之會,(석자초령왕위신지회) 옛날 초나라의 영왕이 신(申)나라에서 제후와 회합했을 때 .. 한비자 2012.12.05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작은 이익을 탐내다 큰 이익을 잃는다.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작은 이익을 탐내다 큰 이익을 잃는다. - 韓非子 第10篇 十過[3]- 奚謂顧小利?(해위고소리) 작은 이익을 생각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昔者晉獻公(석자진헌공) 欲假道於虞以伐虢.(욕가도어우이벌괵) 진나라의 헌공은 우나라로 부터 길을 빌려 .. 한비자 2012.12.05
論語 6.雍也編 15.사람은 도를 쫓아 살아야 한다. 論語 6.雍也編 15.사람은 도를 쫓아 살아야 한다.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했다. 誰能出不由戶(수능출불유호)리오마는 누가 문을 지나지 않고 방을 나갈 수 있겠는가? 何莫由斯道也(하막유사도야)오 그러하거늘 어찌하여 선왕의 도를 따르지 않는가? 논어(論語)[完] 2012.11.30
論語 6.雍也編 14.미모가 구변만 못하다. 論語 6.雍也編 14.미모가 구변만 못하다. 子曰 (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不有祝鮀之佞(불유축타지녕)이며 而有宋朝之美(이유송조지미)면 "축타 같이 말을 잘 하거나, 송나라 조와 같이 미모를 지니고 있지 않으면, 難乎免於今之世矣(난호면어금지세의)니라 지금 세상에서는 환란.. 논어(論語)[完] 2012.11.30
論語 6.雍也編 13.용감한 자는 겸양의 덕이 있다. 論語 6.雍也編 13.용감한 자는 겸양의 덕이 있다. 子曰 (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孟之反(맹지반)은 不伐(불벌)이로다 "맹지반은 공로를 자랑하지 않도다. 奔而殿(분이전)하야 將入門(장입문)할새 달아날 때는 뒤에서 적을 막았고, 성문에 들어갈 때는 策其馬曰(책기마왈) 非敢後也(비감후.. 논어(論語)[完] 2012.11.30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작은 충성은 큰 충성의 적이다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작은 충성은 큰 충성의 적이다 - 韓非子 第10篇 十過[2]- 奚謂小忠?(해의소충) 작은 충성이란 무엇인가. 昔者楚共王與晉厲公戰於鄢陵,(석자초공왕여진려공전어언릉) 초나라 공왕이 진나라의 여공과 언능에서 싸웠을 때, 楚師敗,(초사패) .. 한비자 2012.11.28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십과十過 : 명심해야 할 열 가지 잘못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십과十過 : 명심해야 할 열 가지 잘못 - 韓非子 第10篇 十過[1]- 十過: (십과) 군주가 명심해야 할 열 가지 과실은 다음과 같다. 一曰(일왈) 行小忠,(행소충) 則大忠之賊也.(즉대충지적야) 첫째, 작은 충성은 큰 충성의 적이다. 二曰(이왈) 顧小利,(고소리) 則大.. 한비자 2012.11.28
論語 6.雍也編 12.공무가 아니면 상관의 집을 찾지 않는다. 論語 6.雍也編 12.공무가 아니면 상관의 집을 찾지 않는다. 子游((자유) 爲武城宰(위무성재)러니 자유가 무성 지방의 원님이 되었다. 子曰 (자왈) 그러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女得人焉爾乎(여득인언이호)아 "네가 쓸 만한 사람을 찾았느냐?" 曰(왈) 有澹臺滅明者(유담대멸명자)하니 자유가 .. 논어(論語)[完] 2012.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