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5.公冶長編 24.정직한 사람이란 論語 5.公冶長編 24.정직한 사람이란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孰謂微生高直(숙위미생고직)고 누가 미생고를 정직하다고 하는가. 或(혹)이 乞醯焉(걸혜언)이어늘 어떤 사람이 그에게 초를 얻고자 하자, 乞諸其隣而與之(걸제기린이여지)로다. 그가 이웃에서 초를 얻어다 주었다. 논어(論語)[完] 2012.11.18
論語 5.公冶長編 23.백이 숙제는 지난날의 악을 생각하지 않는다. 論語 5.公冶長編 23.백이 숙제는 지난날의 악을 생각하지 않는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伯夷叔齊(백이숙제)는 不念舊惡(불념구악)이라 백이와 숙제는 지난날의 악을 생각하지 않아서 怨是用希(원시용희)니라. 남을 원망하는 일이 드물었다. 백이와 숙제는 정의와 결백한 사.. 논어(論語)[完] 2012.11.18
論語 5.公冶長編 22.후배 교육에 전념하자 論語 5.公冶長編 22.후배 교육에 전념하자 子 在陳(자 재진)하사 曰,(왈,) 공자께서 진나라에 있을 때 말씀하셨다. 歸與(귀여)인저 歸與(귀여)인저 돌아가자, 돌아가자. 吾黨之小子(오당지소자) 狂簡(광간)하야 우리 고장의 젊은이들은 뜻은 크나 면밀하지 못하여 斐然成章(비연성장)이요 不.. 논어(論語)[完] 2012.11.18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천명에 따르고 지혜와 기교를 버려라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천명에 따르고 지혜와 기교를 버려라 - 韓非子 第8篇 揚權[2]- 用一之道,(용일지도) 以名爲首,(이명위수) 현명한 군주의 도는 명분을 바로 세우는 것을 으뜸으로 한다. 名正物定,(명정물정) 名倚物徙.(명의물사) 명분이 정당하면 안정되고 정당하.. 한비자 2012.11.16
明心寶鑑 正己編 5 모든 선행을 사랑하고 기뻐하라 明心寶鑑 正己編 5 모든 선행을 사랑하고 기뻐하라 康節召先生(강절소선생)이 曰(왈), 강절 소선생이 말하기를, 聞人之謗(문인지방)이라도 未嘗怒(미상로)하며 남으로부터 비방을 듣더라도 화내지 말고, 聞人之譽(문인지예)라도 未嘗喜(미상희)하며 남으로부터 칭찬을 듣더라도 기뻐하지.. 明心寶鑑[完] 2012.11.16
明心寶鑑 正己編 4 타인의 과실은 듣기만 하고 말하지 말라. 明心寶鑑 正己編 4 타인의 과실은 듣기만 하고 말하지 말라. 馬援(마원)이 曰(왈), 마원이 말하기를, 聞人之過失(문인지과실)이어든 남의 잘못을 듣거든 如聞父母之名(여문부모지명)하여 마치 어버이의 이름을 들은 것처럼 하여, 耳可得聞(이가득문)이언정 不可言也(불가언야)니라. 귀로 .. 明心寶鑑[完] 2012.11.16
明心寶鑑 正己編 3 겸손 하라, 항상 겸손 하라. 明心寶鑑 正己編 3 겸손 하라, 항상 겸손 하라. 太公曰(태공왈), 태공이 말하기를, 勿以貴己而賤人(물이귀기이천인)하고 자기의 몸이 귀하다고 남을 천하게 여기지 말며, 勿以自大而蔑小(물이자대이멸소)하고 자기 자신이 크다고 하여 남의 작음을 멸시하지 말고, 勿以恃勇而輕敵(물이시.. 明心寶鑑[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21.우직한 영무자의 충성 論語 5.公冶長編 21.우직한 영무자의 충성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甯武子(영무자)는 邦有道則知(방유도즉지)하고 영무자는 나라에 도가 섰을 때는 슬기로움을 나타내고, 邦無道則愚(방무도즉우)하니 나라가 어지러울 때는 어리석은 척을 했으니, 其知可及也(기지가급야)어.. 논어(論語)[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20.지나치게 생각하면 우유부단해진다. 論語 5.公冶長編 20.지나치게 생각하면 우유부단해진다. 季文子(계문자) 三思而後(삼사이후)에 行(행)하더니 계문자는 무슨 일을 하던 세 번을 생각하고 난후에 실천을 하니, 子聞之(자문지)하시고 曰(왈) 再斯可矣(재사가의)니라 공자께서 그 말을 들으시고 두 번이면 된다. 고 하셨다. 계.. 논어(論語)[完] 2012.11.16
論語 5.公冶長編 19.충성과 청백 論語 5.公冶長編 19.충성과 청백 子張(자장)이 問曰,(문왈,) 자장이 묻기를, 令尹子文(영윤자문)이 三仕爲令尹(삼사위영윤)하되 초나라 자문이 세 번이나 영윤의 직에 올랐어도 無喜色(무희색)하며 三已之(삼이지)하되 無溫色(무온색)하여 기쁜 기색이 없으며 세 번 파면을 당하되 노여워하.. 논어(論語)[完] 2012.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