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알 수 없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알 수 없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 韓非子 第8篇 揚權[4]- 主上不神,(주상불신) 군주는 신비의 덕이 밖에서 관찰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 下將有因: (하장유인) 그렇지 않으면 신하는 군주를 업신여긴다. 其事不當,(기사부당) 下考其常.(하고기상) .. 한비자 2012.11.21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마음대로 말하게 두어라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마음대로 말하게 두어라 - 韓非子 第8篇 揚權[3]- 夫道者,(부도자) 弘大而無形 (홍대이무형) 원래 도라는 것은 광대무변하고 형태가 없지만, 德者,(덕자) 覈理而普至.(핵리이보지) 덕은 실제로 명백한 정의가 있어 만물에 두루 미친다. 至於群.. 한비자 2012.11.21
論語 6.雍也編 4.내가 훌륭하면 세상 사람들이 버리지 않는다. 論語 6.雍也編 4.내가 훌륭하면 세상 사람들이 버리지 않는다. 子謂仲弓曰 (자위중궁왈) 공자가 중궁의 인물됨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犁牛之子(이우지자) 騂且角(성차각)이면 "얼룩소의 새끼가 털 색깔이 붉고 또 뿔이 제대로 났다면 雖欲勿用(수욕물용)이나 비록 제사에 쓰지 않.. 논어(論語)[完] 2012.11.20
論語 6.雍也編 3.재물이 많으면 남에게 나누어주어라. 論語 6.雍也編 3.재물이 많으면 남에게 나누어주어라. 子華使於齊(자화시어제)러니 자화가 제 나라에 사신으로 가는데 冉子爲其母請粟(염자위기모청속)한대 염자가 자화의 어머니에게 곡식을 주자고 청했다. 子曰(자왈) 與之釜(여지부)하라 공자가 말씀하셨다. "부만큼 주어라." 請益(.. 논어(論語)[完] 2012.11.20
論語 6.雍也編 2.안회는 학문을 좋아했다. 論語 6.雍也編 2.안회는 학문을 좋아했다. 哀公(애공)이 問 (문) 애공이 물었다. 弟子(제자) 孰爲好學(숙위호학)이니잇고 "제자들 중에 누가 학문을 좋아합니까?" 孔子(공자) 對曰(대왈) 공자가 대답하기를, 有顔回者(유안회자) 好學(호학)하야 "안회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학문을 좋아하여 不.. 논어(論語)[完] 2012.11.20
論語 6.雍也編 1.대범함이 도를 넘으면 안 된다. 論語 6.雍也編 1.대범함이 도를 넘으면 안 된다.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雍也(옹야)는 可使南面(가사남면)이로다 "옹은 임금(수장)을 시킬만하다." 仲弓(중궁)이 問子桑伯子(문자상백자)한대 중궁이 자상백자에 대해 묻자,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可也(가야)나 簡(간)이니라 .. 논어(論語)[完] 2012.11.18
論語 5.公冶長編 28.성실과 호학(好學) 論語 5.公冶長編 28.성실과 호학(好學)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十室之邑(십실지읍)에 집 열 채 정도의 작은 마을에도 必有忠信如丘者焉(필유충신여구자언)이어니와 반드시 충성과 신의에 있어서는 나 같은 사람이 있을 것이다. 不如丘之好學也(불여구지호학야)니라. 그러나 나.. 논어(論語)[完] 2012.11.18
論語 5.公冶長編 27.공자의 한탄 論語 5.公冶長編 27.공자의 한탄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已矣乎(이의호)라 절망스럽구나. 吾未見能見其過(오미견능견기과)하고 나는 아직 자기의 잘못을 보고 而內自訟者也(이내자송자야)로라. 스스로 마음속으로 자책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논어(論語)[完] 2012.11.18
論語 5.公冶長編 26.공자와 제자들의 소망 論語 5.公冶長編 26.공자와 제자들의 소망 顔淵(안연) 季路侍(계로시)러니 안연과 자로가 공자를 모시고 한 자리에 앉아 있었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盍各言爾志.(합각언이지.)리오 너희들의 소망하는 바를 각자 말해 보지 않겠느냐? 子路曰,(자로왈,) 자로가 말했다. 願.. 논어(論語)[完] 2012.11.18
論語 5.公冶長編 25.두 가지 부끄러움 論語 5.公冶長編 25.두 가지 부끄러움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巧言令色足恭(교언영색족공)을 겉으로 말을 잘 꾸미고 낯빛을 부드럽게 하고 지나치게 공손한 태도를 左丘明恥之(좌구명치지)하니 丘亦恥之.(구역치지)하노라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거니와 나도 그것을 부끄럽.. 논어(論語)[完] 201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