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 제9편第9篇 8간八姦 : 간계를 방지하는 방법 한비자韓非子 제9편第9篇 8간八姦 : 간계를 방지하는 방법 - 韓非子 第9篇 八姦[2]- 明君之於內也, (명군지어내야) 현명한 군주가 간계를 방지하는 방법은 娛其色而不行其謁, (오기색이불행기알) 첫째, 궁정 안 생활에서 여색을 즐기되, 不使私請.(불사사청) 其於左右也,(기어좌우야) .. 한비자 2012.11.27
한비자韓非子 제9편第9篇 팔간八姦 : 권력을 잃게 되는 여덟 가지 원인 한비자韓非子 제9편第9篇 팔간八姦 : 권력을 잃게 되는 여덟 가지 원인 - 韓非子 第9篇 八姦[1]- 凡人臣之所道成姦者有八術:(범인신지소도성간자유팔술) 대체로 남의 신하된 자가 이용하여 간계를 성취하는 데는 여덟 가지가 있다. 一曰在同牀. (일왈재동상) 첫째는, 같은 잠자리에 .. 한비자 2012.11.24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권신의 세력을 약화시켜야 한다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권신의 세력을 약화시켜야 한다 - 韓非子 第8篇 揚權[6]- 一棲兩雄, (일서양웅) (나라에 권세를 잡은 신하가 있어 군주와 병존하는 것은) 한 우리 안에 두 마리 수탉이 있는 것과 같다. 一棲兩雌(일서양자) 其鬪諺諺.(기투언언) 한 울에 두 마리의 .. 한비자 2012.11.24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도당은 반드시 타파해야 한다.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도당은 반드시 타파해야 한다. - 韓非子 第8篇 揚權[5]- 欲爲其國,(욕위기국) 必伐其聚 (필벌기취) 국가를 통치하려면 반드시 모이는 것을 벌해야 한다. 不伐其聚,(불벌기취) 彼將聚衆.(피장취중) 모이는 것을 치지 않으면 저들이 장차 대중을 모읍.. 한비자 2012.11.23
論語 6.雍也編 6.정치를 맡길만한 제자들 論語 6.雍也編 6.정치를 맡길만한 제자들 季康子問(계강자문) 계강자가 물었다. 仲由(중유)는 可使從政也與(가사종정야여)잇가 "중유(仲由:자로)는 정사를 맡길 만합니까?" 子曰 (자왈) 공자가 대답했다. 由也(유야)는 果(과)하니 於從政乎(어종정호)에 何有(하유)리오 "유는 과단성이 있으.. 논어(論語)[完] 2012.11.21
論語 6.雍也編 5.안회의 어진마음 論語 6.雍也編 5.안회의 어진마음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回也(회야)는 其心(기심)이 三月不違仁(삼월불위인)이오 "안회는 마음속에 삼 개월 동안 인을 어기지 않고, 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기여칙일월지언이이의)니라 그 나머지 제자들은 하루나 한 달에 한 번 인에 도달한다." 논어(論語)[完] 2012.11.21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알 수 없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알 수 없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 韓非子 第8篇 揚權[4]- 主上不神,(주상불신) 군주는 신비의 덕이 밖에서 관찰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 下將有因: (하장유인) 그렇지 않으면 신하는 군주를 업신여긴다. 其事不當,(기사부당) 下考其常.(하고기상) .. 한비자 2012.11.21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마음대로 말하게 두어라 한비자韓非子 제8편第8篇 양권揚權 : 마음대로 말하게 두어라 - 韓非子 第8篇 揚權[3]- 夫道者,(부도자) 弘大而無形 (홍대이무형) 원래 도라는 것은 광대무변하고 형태가 없지만, 德者,(덕자) 覈理而普至.(핵리이보지) 덕은 실제로 명백한 정의가 있어 만물에 두루 미친다. 至於群.. 한비자 2012.11.21
論語 6.雍也編 4.내가 훌륭하면 세상 사람들이 버리지 않는다. 論語 6.雍也編 4.내가 훌륭하면 세상 사람들이 버리지 않는다. 子謂仲弓曰 (자위중궁왈) 공자가 중궁의 인물됨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犁牛之子(이우지자) 騂且角(성차각)이면 "얼룩소의 새끼가 털 색깔이 붉고 또 뿔이 제대로 났다면 雖欲勿用(수욕물용)이나 비록 제사에 쓰지 않.. 논어(論語)[完] 2012.11.20
論語 6.雍也編 3.재물이 많으면 남에게 나누어주어라. 論語 6.雍也編 3.재물이 많으면 남에게 나누어주어라. 子華使於齊(자화시어제)러니 자화가 제 나라에 사신으로 가는데 冉子爲其母請粟(염자위기모청속)한대 염자가 자화의 어머니에게 곡식을 주자고 청했다. 子曰(자왈) 與之釜(여지부)하라 공자가 말씀하셨다. "부만큼 주어라." 請益(.. 논어(論語)[完] 2012.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