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6.雍也編 20.지혜와 인 論語 6.雍也編 20.지혜와 인 樊遲(번지) 問知(문지)한대 子曰(자왈) 번지가 지(知)에 대해서 묻자, 공자가 대답했다. 務民之義(무민지의)오 敬鬼神而遠之(경귀신이원지)면 "백성에게 의를 힘쓰게 하고,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면 可謂知矣(가위지의)니라 그것을 지(知)라고 할 수 있다." 問仁.. 논어(論語)[完] 2013.05.12
論語 6.雍也編 19.재주에는 한계가 있다. 論語 6.雍也編 19.재주에는 한계가 있다.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中人以上(중인이상)은 可以語上也(가이어상야)어니와 "중간 이상쯤 가는 사람에게는 높은 수준의 것을 말해 줄 수 있으나, 中人以下(중인이하)는 不可以語上也(불가이어상야)니라 중간이하의 사람에게는 높은 수준.. 논어(論語)[完] 2013.05.12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충신의 말을 듣지 않으면 웃음거리가 된다.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충신의 말을 듣지 않으면 웃음거리가 된다. - 韓非子 第10篇 十過[9]- 奚謂過而不聽於忠臣? (해위과이불청어충신) 과실을 범하면서도 충신의 말을 듣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昔者齊桓公九合諸侯,(석자제환공규합제후) 一匡天下,(일광천하) .. 한비자 2013.05.11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국도를 떠나 멀리 여행하는 것은 위험하다.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국도를 떠나 멀리 여행하는 것은 위험하다. - 韓非子 第10篇 十過[8]- 奚謂離內遠遊? (해위리내원유) 국도를 떠나 멀리 여행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昔者田成子遊於海而樂之。(석자전성자유어해이락지) 옛날 제나라의 전성자는 멀리 바닷가로 여.. 한비자 2013.05.09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여악에 빠지면 멸망한다.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여악에 빠지면 멸망한다. - 韓非子 第10篇 十過[7]- 奚謂耽於女樂?(해위탐어여악) 여악(女樂)에 빠진다는 것은 무엇인가? 昔者(석자) 戎王使由余聘於秦,(융왕사유여빙어진) 옛날 융왕이 신하 유여를 진나라에 보내어 예물을 바친 적이 있는데, 穆.. 한비자 2013.05.09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 음악에만 빠지면 자신과 나라를 망친다. 한비자韓非子 제10편第10篇 10과十過 :음악에만 빠지면 자신과 나라를 망친다. - 韓非子 第10篇 十過[5]- 奚謂好音?(해위호음) 무엇을 일러 음악을 즐긴다고 함인가? 昔者衛靈公將之晉(석자위령공장지진), 至濮水之上(지복수지상), 옛날 위나라 영공이 진나라로 가는 도중 복수의 .. 한비자 2012.12.08
도의 효능은 넓고도 커서 끝이 없다. (노자 하편 제54장) 도의 효능은 넓고도 커서 끝이 없다. (노자 하편 제54장) 善建者不拔, (선건자불발,) 확고히 세운 것은 쉽게 뽑히지 않고 善抱者不脫, (선포자불탈,) 제대로 안은 것은 벗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도를 지키어 나가면 子孫以祭祀不輟,(자손이제사불철,) 자손의 제사가 끊이지 않을 것이다. 修.. 道德經[完] 2012.12.05
論語 6.雍也編 18.도를 즐기는 생활 論語 6.雍也編 18.도를 즐기는 생활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知之者(지지자) 不如好之者(불여호지자)오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보다 못하고, 好之者(호지자) 不如樂之者(불여낙지자)니라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보다 못하다." 논어(論語)[完] 2012.12.05
論語 6.雍也編 17.사람의 삶은 곧은 것이다. 論語 6.雍也編 17.사람의 삶은 곧은 것이다. 子曰 (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人之生也(인지생야) 直(직)하니 "사람의 삶은 곧아야 하는 것이다. 罔之生也(망지생야)는 幸而免(행이면)이니라 곧지 않으면서 살아 있는 것은 요행히 죽음을 면했을 뿐이다." 논어(論語)[完] 2012.12.05
論語 6.雍也編 16.문(文)과 질(質)의 조화. 論語 6.雍也編 16.문(文)과 질(質)의 조화. 子曰 (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質勝文則野(질승문즉야)요 "질(質:바탕)이 문(文:겉모양)을 이기면 투박하고, 文勝質則史(문승질즉사)니 문이 질을 이기면 사(史)(허황되다)하므로, 文質(문질)이 彬彬然後(빈빈연후)에 君子(군자)니라 문과 질이 서.. 논어(論語)[完] 201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