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綱 호전육조(戶典六條) 2. 세법(稅法 : 세무에 관한 행정은 밝게) 6綱 호전육조(戶典六條) 2. 세법(稅法 : 세무에 관한 행정은 밝게) 原文 田制旣然(전제기연) 稅法隨紊 (세법수문) 논밭에 관한 제도가 이미 엉망이니 세법 또한 문란하다. 失之於年分(실지어년분) 失之於黃豆(실지어황두) 연분(年分)으로 손실을 보고 황두(黃豆)로 손실을 보니 而國之歲入.. 牧民心書[完] 2014.01.21
6綱 호전육조(戶典六條) 1. 전정(田政 : 근본적인 개혁을) 6綱 호전육조(戶典六條) 1. 전정(田政 : 근본적인 개혁을) 原文 牧之職(목지직) 五十四條(오십사조) 田政最難(전정최난) 목민관의 직책 54조 중에서 전정(田政)이 가장 어렵다. 以吾東田法(이오동전법) 本自未善也.(본자미선야.) 이것은 우리나라 전법(田法)이 본래부터 잘 되어있지 않기 때.. 牧民心書[完] 2014.01.21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6. 고공(考功 : 엄정하게 성적을 평가)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6. 고공(考功 : 엄정하게 성적을 평가) 原文 吏事必考其功(이사필고기공) 관리가 한 일은 반드시 그 공적을 따져야 한다. 不考其功(불고기공) 則民已勸矣.(즉민불권의.) 그 공적을 따지지 않는다면 백성이 힘써 일하지 않는다. 國法所無(국법소무) 不可獨行(불가독.. 牧民心書[完] 2014.01.20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5. 찰물(察物 : 물정을 엄밀하게 사찰)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5. 찰물(察物 : 물정을 엄밀하게 사찰) 原文 牧孑然孤立(목혈연고립) 목민관은 혈연(孑然)히 고립되어 있으며 一榻之外(일탑지외) 일탑(一榻)외에는 皆欺我者也(개기아자야) 모두 나를 속이려는 자들뿐이다. 明四目(명사목) 達四聰(달사총) 사방을 보는 눈을 밝게 .. 牧民心書[完] 2014.01.20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4. 거현(擧賢 : 어질고 현명한 인물을)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4. 거현(擧賢 : 어질고 현명한 인물을) 原文 擧賢者(거현자) 守令之職.(수령지직) 현인(賢人)을 천거하는 것은 수령의 직책이다. 雖吉今殊制(수고금수제) 비록 고금이 제도가 다르다 하더라도 而擧賢不可忘也.(이거현불가망야.) 현인을 천거하는 일만은 잊어서는 안.. 牧民心書[完] 2014.01.20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3. 용인(用人 : 사람을 적재적소에 씀)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3. 용인(用人 : 사람을 적재적소에 씀) 原文 爲邦在於用人(위방재어용인)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사람을 잘 임용하는 데 달렸으니 郡縣雖小(군현수소) 其用人(기용인) 無以異也.(무이이야.) 군현(郡縣)은 비록 작으나 그 사람을 쓰는 것은 (나라)와 다를 것이 없다. 鄕.. 牧民心書[完] 2014.01.20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2. 어중(馭衆 : 대중을 통솔)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2. 어중(馭衆 : 대중을 통솔) 原文 馭衆之道(어중지도) 威信而已(위신이이) 부하를 통솔하는 방법은 위엄과 신의뿐이다. 威生於廉(위생어렴) 信生於忠(신유어충) 위엄은 청렴에서 생기고 신의는 충성에서 나오는 것이니 忠而能廉(충이능렴) 斯可以服衆矣(사가이복.. 牧民心書[完] 2014.01.20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1. 속리(束吏 : 아전 단속을 너그러우면서도 엄정(嚴正)하게) 5綱 이전육조(吏典六條) 1. 속리(束吏 : 아전 단속을 너그러우면서도 엄정(嚴正)하게) 原文 束吏之本(속리지본) 在於律己(재어율기) 아전을 단속하는 근본은 자기 처신을 바르게 다스리는 데 있다. 其身正(기신정) 不令而行(불령이행) 자신이 바르면 명령하지 않아도 시행되어질 것이고 其.. 牧民心書[完] 2014.01.20
4綱 애민육조(愛民六條) 6. 구재(救災 : 재난을 구제) 4綱 애민육조(愛民六條) 6. 구재(救災 : 재난을 구제) 原文 水火之災(수화지재) 國有恤典(국유휼전) 수재(水災)나 화재(水災)의 재해에 대해서는 국가에 구제하는 법이 있으니 行之惟謹(행지유근) 삼가 행할 것이며 宜於恒典之外(의어항전지외) 일정한 규정이 없으면 牧自恤之.(목자휼지) .. 牧民心書[完] 2014.01.18
4綱 애민육조(愛民六條) 5. 관질(寬疾 : 환자의 구호) 4綱 애민육조(愛民六條) 5. 관질(寬疾 : 환자의 구호) 原文 廢疾篤疾者(폐질독질자) 免其征役(면기정역) 불치(不治), 중병 환자에게는 부역을 면제해 주는데 此之謂寬疾也(차지위관질야) 이것을 관질(寬疾)이라고 한다. 廢癃殘疾(폐륭잔질) 力不能自食者(역불능자식자) 병신이거나 불치.. 牧民心書[完] 2014.01.18